Skip to main content

TEXT 27

제27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जातस्य हि ध्रुवो मृत्युर्ध्रुवं जन्म मृतस्य च ।
तस्मादपरिहार्येऽर्थे न त्वं शोचितुमर्हसि ॥ २७ ॥

Text

원문

jātasya hi dhruvo mṛtyur
dhruvaṁ janma mṛtasya ca
tasmād aparihārye ’rthe
na tvaṁ śocitum arhasi
자따샤 히 드루보 므리뜌르 jātasya hi dhruvo mṛtyur
드루밤 잔마 므리따샤 짜 dhruvaṁ janma mṛtasya ca
따스맏 아빠리하르예’르테 tasmād aparihārye 'rthe
나 뜨밤 쇼찌뚬 아르하시 na tvaṁ śocitum arhasi

Synonyms

동의어

jātasya — of one who has taken his birth; hi — certainly; dhruvaḥ — a fact; mṛtyuḥ — death; dhruvam — it is also a fact; janma — birth; mṛtasya — of the dead; ca — also; tasmāt — therefore; aparihārye — of that which is unavoidable; arthe — in the matter; na — do not; tvam — you; śocitum — to lament; arhasi — deserve.

자따샤: 태어난 자는, 히: 분명히, 드루바하: 사실, 므리뜌: 죽음, 드루밤: 또한 사실이다, 잔마: 출생, 므리따샤: 죽은 자는, 짜: 또한, 따스맛: 그러므로, 아빠리하르예: 피할 수 없는 것, 아르테: 물질에, 나: 않다, 뜨밤: 너, 쇼찌뚬: 비탄하다, 아르하시: 마땅하다.

Translation

번역

One who has taken his birth is sure to die, and after death one is sure to take birth again. Therefore, in the unavoidable discharge of your duty, you should not lament.

태어난 자는 반드시 죽기 마련이며 죽은 다음에는 분명 다시 태어난다. 그러므로 피할 수 없는 네 의무를 수행하는 것을 두고 슬퍼하지 말아라.

Purport

주석

One has to take birth according to one’s activities of life. And after finishing one term of activities, one has to die to take birth for the next. In this way one is going through one cycle of birth and death after another without liberation. This cycle of birth and death does not, however, support unnecessary murder, slaughter and war. But at the same time, violence and war are inevitable factors in human society for keeping law and order.

인간은 사는 동안 자기가 한 행위에 따라 출생을 맞는다. 그리고 한 삶의 행위가 끝나면 다음 생에 태어나기 위해 죽어야 한다. 해방을 이루지 못하면 이렇게 삶과 죽음의 순환을 계속해서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 윤회가 불필요한 살인과 도살, 그리고 전쟁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폭력과 전쟁은 인간 사회에서 법과 질서의 유지에 필요불가결한 요소이기도 하다.

The Battle of Kurukṣetra, being the will of the Supreme, was an inevitable event, and to fight for the right cause is the duty of a kṣatriya. Why should he be afraid of or aggrieved at the death of his relatives since he was discharging his proper duty? He did not deserve to break the law, thereby becoming subjected to the reactions of sinful acts, of which he was so afraid. By avoiding the discharge of his proper duty, he would not be able to stop the death of his relatives, and he would be degraded due to his selection of the wrong path of action.

절대자의 뜻인 꾸룩쉐뜨라 전쟁은 필요불가결한 사건으로, 정당한 명분을 위해 싸우는 것은 끄샤뜨리야의 의무이다. 정당한 의무를 수행하는 데 친척들의 죽음을 두려워하거나 비탄해야 할 이유가 있는가? 아르주나가 불필요하게 법을 어기면 그가 그렇게 두려워하는 죄업을 받아 마땅하다. 정당한 의무를 외면한다고 해서 친척들의 죽음을 막지 못하며 오히려 잘못된 행위의 길을 선택한 탓에 그는 타락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