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S 26-27

제26~27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सद्भ‍ावे साधुभावे च सदित्येतत्प्रयुज्यते ।
प्रशस्ते कर्मणि तथा सच्छब्द: पार्थ युज्यते ॥ २६ ॥
यज्ञे तपसि दाने च स्थिति: सदिति चोच्यते ।
कर्म चैव तदर्थीयं सदित्येवाभिधीयते ॥ २७ ॥

Text

원문

sad-bhāve sādhu-bhāve ca
sad ity etat prayujyate
praśaste karmaṇi tathā
sac-chabdaḥ pārtha yujyate
삳-바베 사두-바베 짜 sad-bhāve sādhu-bhāve ca
사디뗴땃 브라유쟈떼 sad ity etat prayujyate
쁘라샤스떼 까르마니 따타 praśaste karmaṇi tathā
삿-차브다 빠르타 유쟈떼 sac-chabdaḥ pārtha yujyate
yajñe tapasi dāne ca
sthitiḥ sad iti cocyate
karma caiva tad-arthīyaṁ
sad ity evābhidhīyate
야계 따빠시 다네 짜 yajñe tapasi dāne ca
스티띠 삳 이띠 쪼쨔떼 sthitiḥ sad iti cocyate
까르마 짜이바 따다르티얌 karma caiva tad-arthīyaṁ
사디뗴바비디야떼 sad ity evābhidhīyate

Synonyms

동의어

sat-bhāve — in the sense of the nature of the Supreme; sādhu-bhāve — in the sense of the nature of the devotee; ca — also; sat — the word sat; iti — thus; etat — this; prayujyate — is used; praśaste — in bona fide; karmaṇi — activities; tathā — also; sat-śabdaḥ — the sound sat; pārtha — O son of Pṛthā; yujyate — is used; yajñe — in sacrifice; tapasi — in penance; dāne — in charity; ca — also; sthitiḥ — the situation; sat — the Supreme; iti — thus; ca — and; ucyate — is pronounced; karma — work; ca — also; eva — certainly; tat — for that; arthīyam — meant; sat — the Supreme; iti — thus; eva — certainly; abhidhīyate — is indicated.

삿-바베: 절대자의 본성에 관해서, 사두-바베: 헌애자의 본성에 관해서, 짜: 또한, 삿: 단어 삿, 이띠: 따라서, 에땃: 이것, 쁘라유쟈떼: 사용되다, 쁘라샤스떼: 진정한, 까르마니: 활동들, 따타: 또한, 삿-샤브다: 소리 삿, 빠르타: 오 쁘리타의 아들이여, 유쟈떼: 사용되다, 야계: 희생에, 따빠시: 고행에, 다네: 자선에, 짜: 또한, 스티띠히: 상황, 삿: 절대자, 이띠: 따라서, 짜: 그리고, 우쨔떼: 발음되는, 까르마: 일, 짜: 또한, 에바: 분명히, 땃: 그것을 위해, 아르티얌: 의미하는, 삿: 절대자, 이띠: 따라서, 에바: 분명히, 아비디야떼: 가리킨다.

Translation

번역

The Absolute Truth is the objective of devotional sacrifice, and it is indicated by the word sat. The performer of such sacrifice is also called sat, as are all works of sacrifice, penance and charity which, true to the absolute nature, are performed to please the Supreme Person, O son of Pṛthā.

절대 진리가 헌애적 희생의 목적이고 이것을 삿이라는 말로 나타낸다. 이러한 희생을 실천하는 자 또한 삿으로 불리며, 지고한 인간을 기쁘게 하고자 거행된, 절대 본성에 충실한 모든 희생, 고행, 자선 역시 삿이라고 하느니라, 오 쁘리타의 아들이여.

Purport

주석

The words praśaste karmaṇi, or “prescribed duties,” indicate that there are many activities prescribed in the Vedic literature which are purificatory processes, beginning from the time of conception up to the end of one’s life. Such purificatory processes are adopted for the ultimate liberation of the living entity. In all such activities it is recommended that one vibrate oṁ tat sat. The words sad-bhāve and sādhu-bhāve indicate the transcendental situation. Acting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called sattva, and one who is fully conscious of the activities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called a sādhu. In the Śrīmad-Bhāgavatam (3.25.25) it is said that the transcendental subject matter becomes clear in the association of the devotees. The words used are satāṁ prasaṅgāt. Without good association, one cannot achieve transcendental knowledge. When initiating a person or offering the sacred thread, one vibrates the words oṁ tat sat. Similarly, in all kinds of performance of yajña the object is the Supreme, oṁ tat sat. The word tad-arthīyam further means offering service to anything which represents the Supreme, including such service as cooking and helping in the Lord’s temple, or any other kind of work for broadcasting the glories of the Lord. These supreme words oṁ tat sat are thus used in many ways to perfect all activities and make everything complete.

“쁘라샤스떼 까르마니”, 즉 “규정된 의무”라는 말은 베다 문헌에 규정된 정화 과정이 많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것은 수태의 순간에서 시작해 생을 마칠 때까지에 이르는 삶의 정화 과정이다. 그러한 정화 과정은 생명체의 궁극적 해방을 위한 것이다. 그러한 모든 행위에서 옴 땃 삿을 발성할 것이 권고된다. “삳-바베(sad-bhāve)”와 사두 바베(sādhu-bhāve)는 초월적 상황을 나타낸다. 끄리쉬나 의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삿뜨바라고 하며,  끄리쉬나 의식으로 하는 행위들을 완전하게 이해한 사람을 “사두(sadhu)”라고 한다. 스리마드 바가바땀(3.25.25)에서 초월적 주제는 헌애자와의 교류로 명료해진다고 한다. “사땀 쁘라상갓(satāṁ prasaṅgāt)”이라는 말이 쓰였는데 이 말은 좋은 교류 없이 초월적 지식을 얻을 수는 없다는 뜻이다. 입문식이나 신성한 실을 받는 의식(브라흐마나 입문식)에서 옴 땃 삿이라는 단어를 발성한다. 이처럼, 모든 종류의 야갸에서 그 목적은 절대자, 옴 땃 삿이다. 더 나아가 “딷 아르티얌(tad-arthīyam)”이라는 말은 절대자를 대표하는 모든 봉사를 의미하고, 이것은 요리하거나, 사원의 일을 돕거나, 주의 영광을 전파하는 어떠한 종류의 일도 다 포함한다. 따라서 이 지고한 단어 옴 땃 삿은 모든 행위를 완벽하게 하고, 모든 것을 완전하게 하기 위한 여러 방식에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