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S 1-3

제1~3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श्रीभगवानुवाच
अभयं सत्त्वसंश‍ुद्धिर्ज्ञानयोगव्यवस्थिति: ।
दानं दमश्च यज्ञश्च स्वाध्यायस्तप आर्जवम् ॥ १ ॥
अहिंसा सत्यमक्रोधस्त्याग: शान्तिरपैश‍ुनम् ।
दया भूतेष्वलोलुप्‍त्वं मार्दवं ह्रीरचापलम् ॥ २ ॥
तेज: क्षमा धृति: शौचमद्रोहो नातिमानिता ।
भवन्ति सम्पदं दैवीमभिजातस्य भारत ॥ ३ ॥

Text

원문

śrī-bhagavān uvāca
abhayaṁ sattva-saṁśuddhir
jñāna-yoga-vyavasthitiḥ
dānaṁ damaś ca yajñaś ca
svādhyāyas tapa ārjavam
스리-바가반 우바짜 śrī-bhagavān uvāca
아바얌 삿뜨바-삼슏디르 abhayaṁ sattva-saṁśuddhir
갸나-요가-뱌바스티띠히 jñāna-yoga-vyavasthitiḥ
다남 다마스 짜 야갸스 짜 dānaṁ damaś ca yajñaś ca
스바댜야스 따빠 아르자밤 svādhyāyas tapa ārjavam
ahiṁsā satyam akrodhas
tyāgaḥ śāntir apaiśunam
dayā bhūteṣv aloluptvaṁ
mārdavaṁ hrīr acāpalam
아힘사 사땸 아끄로다스 ahiṁsā satyam akrodhas
띠아가 샨띠라빠이슈남 tyāgaḥ śāntir apaiśunam
다야 부떼스바로룹뜨밤 dayā bhūteṣv aloluptvaṁ
마르다밤 흐리라짜빨람 mārdavaṁ hrīr acāpalam
tejaḥ kṣamā dhṛtiḥ śaucam
adroho nāti-mānitā
bhavanti sampadaṁ daivīm
abhijātasya bhārata
떼자 끄샤마 드리띠 샤우짬 tejaḥ kṣamā dhṛtiḥ śaucam
아드로호 나띠-마니따 adroho nāti-mānitā
바반띠 삼빠담 다이빔 bhavanti sampadaṁ daivīm
아비자따샤 바라따 abhijātasya bhārata

Synonyms

동의어

śrī-bhagavān uvāca —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said; abhayam — fearlessness; sattva-saṁśuddhiḥ — purification of one’s existence; jñāna — in knowledge; yoga — of linking up; vyavasthitiḥ — the situation; dānam — charity; damaḥ — controlling the mind; ca — and; yajñaḥ — performance of sacrifice; ca — and; svādhyāyaḥ — study of Vedic literature; tapaḥ — austerity; ārjavam — simplicity; ahiṁsā — nonviolence; satyam — truthfulness; akrodhaḥ — freedom from anger; tyāgaḥ — renunciation; śāntiḥ — tranquillity; apaiśunam — aversion to fault-finding; dayā — mercy; bhūteṣu — towards all living entities; aloluptvam — freedom from greed; mārdavam — gentleness; hrīḥ — modesty; acāpalam — determination; tejaḥ — vigor; kṣamā — forgiveness; dhṛtiḥ — fortitude; śaucam — cleanliness; adrohaḥ — freedom from envy; na — not; ati-mānitā — expectation of honor; bhavanti — are; sampadam — the qualities; daivīm — the transcendental nature; abhijātasya — of one who is born of; bhārata — O son of Bharata.

스리-바가반 우바짜: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아바얌: 두려움이 없음, 삿뜨바-삼슏디히: 우리 존재를 정화함, 갸나: 지식으로, 요가: 연결하는, 뱌바스티띠히: 상황, 다남: 자선, 다마하: 마음을 다스리는, 짜: 그리고, 야갸하: 희생 실천, 짜: 그리고, 스바댜야하: 베다 문헌을 공부함, 따빠하: 고행, 아르자밤: 소박함, 아힘사: 비폭력, 사땸: 진실함, 아끄로다하: 화를 내지 않음, 띠아가하: 버림, 샨띠히: 평정, 아빠이슈남: 흠잡는 것을 싫어함, 다야: 자비, 부떼슈: 모든 생명체에 대해, 아로룹뜨밤: 욕심에서 벗어남, 마르다밤: 부드러움, 흐리히: 정숙함, 아짜빨람: 굳은 결심, 떼자하: 용맹, 끄샤마: 용서, 드리띠히: 꿋꿋함, 샤우짬: 깨끗함, 아드로하하: 시기하지 않음, 나: 아니다, 아띠-마니따: 명예에 대한 기대, 바반띠: 이다, 삼빠담: 자질들, 다이빔: 초월적 본성, 아비자따샤: 태어난 자의, 바라따: 오 바라따의 아들이여.

Translation

번역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said: Fearlessness; purification of one’s existence; cultivation of spiritual knowledge; charity; self-control; performance of sacrifice; study of the Vedas; austerity; simplicity; nonviolence; truthfulness; freedom from anger; renunciation; tranquillity; aversion to faultfinding; compassion for all living entities; freedom from covetousness; gentleness; modesty; steady determination; vigor; forgiveness; fortitude; cleanliness; and freedom from envy and from the passion for honor – these transcendental qualities, O son of Bharata, belong to godly men endowed with divine nature.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두려움 없음, 자기 존재의 정화, 영적 지식의 배양, 자선, 자기 통제, 희생 실천, 베다 공부, 고행, 간소함, 비폭력, 화내지 않음, 버림, 평정, 흠잡는 것을 싫어함, 모든 생명체에 대한 동정심, 욕심내지 않음, 부드러움, 정숙함, 꾸준한 결심, 용맹, 용서, 꿋꿋함, 청결, 시기하지 않고 명예에 대한 열정 없음, 이러한 초월적 자질은 신성한 성품을 가진 성스러운 자들이 갖춘 것이니라, 오 바라따의 아들이여.

Purport

주석

In the beginning of the Fifteenth Chapter, the banyan tree of this material world was explained. The extra roots coming out of it were compared to the activities of the living entities, some auspicious, some inauspicious. In the Ninth Chapter, also, the devas, or godly, and the asuras, the ungodly, or demons, were explained. Now, according to Vedic rites, activities in the mode of goodness are considered auspicious for progress on the path of liberation, and such activities are known as daivī prakṛti, transcendental by nature. Those who are situated in the transcendental nature make progress on the path of liberation. For those who are acting in the modes of passion and ignoranc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liberation. Either they will have to remain in this material world as human beings, or they will descend among the species of animals or even lower life forms. In this Sixteenth Chapter the Lord explains both the transcendental nature and its attendant qualities and the demoniac nature and its qualities. He also explain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se qualities.

제15장 서두에서 이 물질계의 반얀나무를 설명했다. 그 나무에서 자라나는 잔뿌리들은 상서롭거나, 상서롭지 못한 생명체들의 행위에 비유되었다. 제9장에서 역시 데바들, 즉 신성한 자들과 아수라들, 즉 악마 같은 자들을 설명했다. 베다의 관례에 따르면, 선성의 행위는 해방의 과정에 도움이 되는 길한 것으로 간주하며, 그것을 다이비 쁘라끄리띠, 즉 본성이 초월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동성과 암성에서 행동하는 자들에게 해방의 가능성은 없다. 그들은 인간으로서 이 물질계에 머물거나, 동물로, 심지어 더 낮은 형태의 삶으로 강등될 것이다. 이 제16장에서 주는 초월적 본성과 그에 수반하는 자질, 그리고 악마적 본성과 그 자질을 설명하신다. 또한 이러한 자질의 장단점을 설명하신다.

The word abhijātasya in reference to one born of transcendental qualities or godly tendencies is very significant. To beget a child in a godly atmosphere is known in the Vedic scriptures as Garbhādhāna-saṁskāra. If the parents want a child in the godly qualities they should follow the ten principles recommended for the social life of the human being. In Bhagavad-gītā we have studied also before that sex life for begetting a good child is Kṛṣṇa Himself. Sex life is not condemned, provided the process is us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Those who ar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t least should not beget children like cats and dogs but should beget them so that they may become Kṛṣṇa conscious after birth. That should be the advantage of children born of a father and mother absorb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초월적 자질, 즉 신성한 자질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과 관련해 “아비자따샤(abhijātasya)”라는 말이 중요하다. 신성한 분위기에서 아이를 갖는 것을 베다에서는 가르바다나-삼스까라(Garbhādhāna-saṁskāra)라고 한다. 부모가 신성한 자질을 가진 아이를 원하면 인간의 사회생활을 위해 규정된 열 가지 원칙을 따라야 한다. 좋은 아이를 갖기 위한 성행위가 바로 끄리쉬나라고 하는 것도  바가바드 기따에서 앞서 배웠다. 성생활은 그 과정이 끄리쉬나 의식이라면 비난받지 않는다. 적어도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들은 개나 고양이처럼 아이를 가져서는 안 되며 아이들이 태어난 후 끄리쉬나 의식이 될 수 있도록 임신해야 한다. 그것이 끄리쉬나 의식에 몰입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이 갖는 장점이다.

The social institution known as varṇāśrama-dharma – the institution dividing society into four divisions of social life and four occupational divisions or castes – is not meant to divide human society according to birth. Such divisions are in terms of educational qualifications. They are to keep the society in a state of peace and prosperity. The qualities mentioned herein are explained as transcendental qualities meant for making a person progress in spiritual understanding so that he can get liberated from the material world.

바르나스라마 다르마로 알려진 사회제도는 네 가지 사회적 삶의 분류와 네 가지의 직업적 혹은 카스트 분류로, 이것은 인간 사회를 출생에 따라 나누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구분은 교육적 자질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것은 사회를 평화와 번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존재한다. 여기에서 언급된 자질은 초월적 자질로 인간을 영적 이해에 전진하게 하기 위함이고 그 결과 물질계에서 해방될 수 있다.

In the varṇāśrama institution the sannyāsī, or the person in the renounced order of life, is considered to be the head or the spiritual master of all the social statuses and orders. A brāhmaṇa is considered to be the spiritual master of the three other sections of a society, namely, the kṣatriyas, the vaiśyas and the śūdras, but a sannyāsī, who is on the top of the institution, is considered to be the spiritual master of the brāhmaṇas also. For a sannyāsī, the first qualification should be fearlessness. Because a sannyāsī has to be alone without any support or guarantee of support, he has simply to depend on the mercy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If one thinks, “After I leave my connections, who will protect me?” he should not accept the renounced order of life. One must be fully convinced that Kṛṣṇa or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in His localized aspect as Paramātmā is always within, that He is seeing everything, and He always knows what one intends to do. One must thus have firm conviction that Kṛṣṇa as Paramātmā will take care of a soul surrendered to Him. “I shall never be alone,” one should think. “Even if I live in the darkest regions of a forest I shall be accompanied by Kṛṣṇa, and He will give me all protection.” That conviction is called abhayam, fearlessness. This state of mind is necessary for a person in the renounced order of life.

바르나스라마 제도에서 산냐시, 즉 버리는 삶의 질서에 있는 사람은 모든 사회적 지위와 질서의 우두머리, 혹은 영적 스승으로 여겨진다. 브라흐마나는 “끄샤뜨리야, 바이샤, 그리고 슈드라”라고 하는 사회의 다른 세 구분의 영적 스승으로 여겨지지만, 이 제도의 최고에 위치하는 산냐시는 이 브라흐마나의 영적 스승으로 간주한다. 산냐시로서의 첫째 자질은 두려움이 없어야 한다. 산냐시는 어떠한 후원이나 후원이 있을 것이라는 보장 없이 혼자 지내기 때문에 오직 최고인격신의 자비에만 의존해야만 한다. “내가 모든 관계를 끊은 다음, 누가 나를 보호해 줄까?”라고 생각한다면, 버리는 삶의 질서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끄리쉬나, 즉 최고인격신께서 국부적 측면의 빠람아뜨마로서 항상 우리 안에 계시면서 모든 것을 보시고, 우리가 무엇을 의도하는지 항상 알고 계신다고 완전히 확신해야 한다. 끄리쉬나께서 빠람아뜨마로서 당신께 항복한 영혼을 돌보실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을 가져야만 하는 것이다. “나는 절대 혼자가 아니다”라고 생각해야 한다. “내가 깊은 숲에 홀로 있을지라도 끄리쉬나께서 함께하시며, 나를 보호하실 것이다.”라는 믿음을 “아바얌, 즉 두려움 없음”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태의 마음이 버리는 삶의 질서에 있는 사람에게 필요하다.

Then he has to purify his existence. There are so many rules and regulations to be followed in the renounced order of life. Most important of all, a sannyāsī is strictly forbidden to have any intimate relationship with a woman. He is even forbidden to talk with a woman in a secluded place. Lord Caitanya was an ideal sannyāsī, and when He was at Purī His feminine devotees could not even come near to offer their respects. They were advised to bow down from a distant place. This is not a sign of hatred for women as a class, but it is a stricture imposed on the sannyāsī not to have close connections with women. One has to follow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a particular status of life in order to purify his existence. For a sannyāsī, intimate relations with women and possession of wealth for sense gratification are strictly forbidden. The ideal sannyāsī was Lord Caitanya Himself, and we can learn from His life that He was very strict in regards to women. Although He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liberal incarnation of Godhead, accepting the most fallen conditioned souls, He strictly followed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the sannyāsa order of life in connection with association with women. One of His personal associates, namely Choṭa Haridāsa, was associated with Lord Caitanya along with His other confidential personal associates, but somehow or other this Choṭa Haridāsa looked lustily on a young woman, and Lord Caitanya was so strict that He at once rejected him from the society of His personal associates. Lord Caitanya said, “For a sannyāsī or anyone who is aspiring to get out of the clutches of material nature and trying to elevate himself to the spiritual nature and go back home, back to Godhead, for him, looking toward material possessions and women for sense gratification – not even enjoying them, but just looking toward them with such a propensity – is so condemned that he had better commit suicide before experiencing such illicit desires.” So these are the processes for purification.

그다음으로 자기 존재를 정화해야 한다. 버리는 삶의 질서에는 지켜야 할 많은 규칙과 규정이 있다. 그중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산냐시는 여자와 어떠한 가까운 관계도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산냐시는 외딴곳에서 여자와 이야기하는 것조차 금지된다. 주 짜이따냐는 이상적인 산냐시였고, 그가 뿌리(Purī)에 계셨을 때, 당신의 여성 헌애자는 당신께 절하려고 근처에 오지도 못했다. 그들은 아주 먼 곳에서 절을 올려야 했다. 이것은 여자를 증오하는 표시가 아니라, 산냐시는 여자와 가까이해서는 안 된다는 엄격함을 의미한다. 우리 존재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지위의 삶에 요구되는 규칙과 규정을 따라야 한다. 산냐시가 여자와 가까이 지내거나 감각 만족을 위한 부를 소유하는 것은 매우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그 이상적 산냐시가 주 짜이따냐 당신이었으며, 우리는 그의 삶을 통해 그가 얼마나 여자에 대해 엄격했는지 배울 수 있다. 주 짜이따냐는 가장 타락한 영혼을 받아들이는 가장 관대한 절대신의 화신이었음에도 여자와 관련한 산냐시의 규칙과 규정을 엄격히 따랐다. 당신의 친밀한 동반자 중 초타 하리다사(Choṭa Haridāsa)는  주 짜이따냐의 다른 은밀한 동반자들과 함께 주 짜이따냐의 곁에 머물렀는데, 이 초타 하리다스가 어쩌다가 젊은 여자를 욕정 어린 눈으로 바라보았다. 그래서 주 짜이따냐는 당신의 동반자들 무리에서 그를 즉시 내쫓았다. 주 짜이따냐께서 말씀하시기를, “산냐시나 물질적 본성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영계로 오르고자 하는 자가 감각 만족을 위해 물질을 소유하거나 여자를 쳐다보는 것은, 그것들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그저 쳐다만 보아도 아주 경멸스러운 것이기에 그러한 더러운 욕망을 경험하기 전에 차라리 자살하는 것이 더 낫다.”라고 말씀하셨다. 따라서 이러한 것이 정화를 위한 과정이다.

The next item is jñāna-yoga-vyavasthiti: being engaged in the cultivation of knowledge. Sannyāsī life is meant for distributing knowledge to the householders and others who have forgotten their real life of spiritual advancement. A sannyāsī is supposed to beg from door to door for his livelihood, but this does not mean that he is a beggar. Humility is also one of the qualifications of a transcendentally situated person, and out of sheer humility the sannyāsī goes from door to door, not exactly for the purpose of begging, but to see the householders and awaken them to Kṛṣṇa consciousness. This is the duty of a sannyāsī. If he is actually advanced and so ordered by his spiritual master, he should preach Kṛṣṇa consciousness with logic and understanding, and if one is not so advanced he should not accept the renounced order of life. But even if one has accepted the renounced order of life without sufficient knowledge, he should engage himself fully in hearing from a bona fide spiritual master to cultivate knowledge. A sannyāsī, or one in the renounced order of life, must be situated in fearlessness, sattva-saṁśuddhi (purity) and jñāna-yoga (knowledge).

다음은 “갸나-요가-뱌바스티띠(jñāna-yoga-vyavasthiti)”, 지식을 배양하는 것이다. 산냐시의 삶은 가정인과 영적 진보를 이루는 삶에 관해 잊어버린 자들에게 지식을 나눠주기 위한 것이다. 산냐시는 집마다 찾아다니며 구걸해야 하지만, 이것은 그가 거지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겸손함 또한 초월적으로 위치한 자의 자격 가운데 하나이며, 이는 구걸이 목적이 아니라 오직 겸손함으로 집마다 사람들을 찾아가 가정인들을 직접 보고 그들에게 끄리쉬나 의식을 일깨워주기 위해서이다. 이것이 산냐시의 의무이다. 그가 실제로 영적으로 진보했고 자신의 영적 스승의 지시를 받았다면 논리와 이해로 끄리쉬나 의식을 전파해야 하고 그렇게 진보하지 않은 자는 버리는 질서의 삶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그러나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않고 산냐시의 삶을 택했다 하더라도, 진정한 영적 스승에게서 완전하게 들음으로써 지식을 배양해야 한다. 산냐시, 즉 버리는 삶의 질서에 있는 자는 두려움이 없어야 하며, 순수해야 하며(삿뜨바-삼슏디 attva-saṁśuddhi)와 지식(갸나 요가 jñāna-yoga)을 갖추어야 한다.

The next item is charity. Charity is meant for the householders. The householders should earn a livelihood by an honorable means and spend fifty percent of their income to propagate Kṛṣṇa consciousness all over the world. Thus a householder should give in charity to institutional societies that are engaged in that way. Charity should be given to the right receiver.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charity, as will be explained later on – charity in the modes of goodness, passion and ignorance. Charity in the mode of goodness is recommended by the scriptures, but charity in the modes of passion and ignorance is not recommended, because it is simply a waste of money. Charity should be given only to propagate Kṛṣṇa consciousness all over the world. That is charity in the mode of goodness.

다음은 자선이다. 자선은 가정인들이 해야 한다. 가정인은 정당한 수단으로 생계를 벌어야 하며, 수입의 반은 끄리쉬나 의식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가정인은 이런 식으로 종사하는 사회들에 자선해야 한다. 자선은 올바른 수령자에게 주어져야 한다. 나중에 설명할 것이지만, 여러 종류의 자선이 있다. 선성에서 하는 자선, 동성에서 하는 자선, 그리고 암성에서 하는 자선이 그것이다. 선성으로 하는 자선은 여러 경전에서 권장하지만, 동성과 암성에서 하는 자선은 권장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은 그저 돈을 낭비하는 것뿐이기 때문이다. 자선은 오직 끄리쉬나 의식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데 주어야 한다. 이것이 선성으로 하는 자선이다.

Then as far as dama (self-control) is concerned, it is not only meant for other orders of religious society, but is especially meant for the householder. Although he has a wife, a householder should not use his senses for sex life unnecessarily. There are restrictions for the householders even in sex life, which should only be engaged in for the propagation of children. If he does not require children, he should not enjoy sex life with his wife. Modern society enjoys sex life with contraceptive methods or more abominable methods to avoid the responsibility of children. This is not in the transcendental quality, but is demoniac. If anyone, even if he is a householder, wants to make progress in spiritual life, he must control his sex life and should not beget a child without the purpose of serving Kṛṣṇa. If he is able to beget children who will b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one can produce hundreds of children, but without this capacity one should not indulge only for sense pleasure.

다음은 자기 통제(dama)인데, 이것은 다른 종교적 질서에 있는 자들(브라흐마짜리, 바나쁘라스타, 산냐시)뿐만 아니라 가정인에게도 특히 필요하다. 아내가 있다 하더라도, 불필요하게 성생활에 자기 감각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가정인의 성생활도 오직 아이를 갖기 위해서만 해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자식을 원하지 않으면, 아내와 성생활을 즐겨서는 안 된다. 현대 사회는 아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피임하거나 다른 끔찍한 수단을 이용하면서 성생활을 즐긴다. 이것은 초월적 자질이 아니라 악마와 같다. 누구든, 가정인이라도 영적 삶에서 전진하고자 한다면 성생활을 억제해야 하며 끄리쉬나를 섬길 의도 없이 아이를 가져서는 안 된다. 끄리쉬나 의식이 될 아이를 가질 수 있다면, 수백 명의 아이를 낳아도 되지만, 이러한 능력 없이 단지 쾌락에만 빠져서는 안 된다.

Sacrifice is another item to be performed by the householders, because sacrifices require a large amount of money. Those in other orders of life, namely brahmacarya, vānaprastha and sannyāsa, have no money; they live by begging. So performance of different types of sacrifice is meant for the householders. They should perform agni-hotra sacrifices as enjoined in the Vedic literature, but such sacrifices at the present moment are very expensive, and it is not possible for any householder to perform them. The best sacrifice recommended in this age is called saṅkīrtana-yajña. This saṅkīrtana-yajña, the chanting of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is the best and most inexpensive sacrifice; everyone can adopt it and derive benefit. So these three items, namely charity, sense control and performance of sacrifice, are meant for the householder.

제사는 가정인들이 수행해야 하는 또 하나의 항목인데, 그 이유는 제사에는 돈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다른 삶의 질서에 있는 자들, 이름하여 브라흐마짜리, 바나쁘라스타, 그리고 산냐시들은 돈이 없다. 그들은 구걸로 살아간다. 그래서 여러 형태의 제사를 올리는 것은 가정인들의 몫이다. 그들은 베다에서 명한 아그니-호뜨라(agni-hotra) 제사를 거행해야 하지만, 그러한 제사는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오늘날 어떠한 가정인도 거행하기가 불가능하다. 이 시대에 최고의 희생제의로 권장되는 것은 산끼르따나 야갸라고 한다. 이 산끼르따나 야갸, 즉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를 구송하는 것은 가장 높고, 가장 돈이 들지 않는 제사다. 누구라도 이것을 시작할 수 있고 혜택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세 가지 항목, 즉 자선, 자기 통제, 그리고 제사의 거행은 가정인들이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Then svādhyāya, Vedic study, is meant for brahmacarya, or student life. Brahmacārīs should have no connection with women; they should live a life of celibacy and engage the mind in the study of Vedic literature for cultivation of spiritual knowledge. This is called svādhyāya.

그다음 베다 공부(스바댜야 svādhyāya)는 브라흐마짜리아, 즉 학생의 삶을 위한 것이다. 브라흐마짜리들은 여자와 연관되어서는 안 된다. 그들은 금욕해야 하며 영적 지식의 배양을 위해 베다 문헌 공부에 마음을 쏟아야 한다. 이것을 스바댜야라고 한다.

Tapas, or austerity, is especially meant for the retired life. One should not remain a householder throughout his whole life; he must always remember that there are four divisions of life – brahmacarya, gṛhastha, vānaprastha and sannyāsa. So after gṛhastha, householder life, one should retire. If one lives for a hundred years, he should spend twenty-five years in student life, twenty-five in householder life, twenty-five in retired life and twenty-five in the renounced order of life. These are the regulations of the Vedic religious discipline. A man retired from household life must practice austerities of the body, mind and tongue. That is tapasya. The entire varṇāśrama-dharma society is meant for tapasya. Without tapasya, or austerity, no human being can get liberation. The theory that there is no need of austerity in life, that one can go on speculating and everything will be nice, is recommended neither in the Vedic literature nor in Bhagavad-gītā. Such theories are manufactured by show-bottle spiritualists who are trying to gather more followers. If there are restrictions, rules and regulations, people will not become attracted. Therefore those who want followers in the name of religion, just to have a show only, don’t restrict the lives of their students, nor their own lives. But that method is not approved by the Vedas.

따빠스(tapas), 즉 고행은 특히 은퇴한 삶을 위한 것이다. 평생 가정인으로 머물러서는 안 된다. 삶에는 네 가지 단계(브라흐마짜리아, 그리하스타, 바나쁘라스타, 그리고 산냐사)가 있다는 것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그래서 그리하스타, 즉 가정인으로서의 삶을 산 후 은퇴해야 한다. 우리가 백 년을 산다면 25년은 학생의 삶, 25년은 가정인의 삶, 25년은 은퇴한 삶, 그리고 25년은 버리는 삶의 질서를 살아야 한다. 이것은 베다의 종교적 훈련을 위한 규정이다. 가정에서 은퇴한 사람은 몸과 마음, 그리고 혀의 고행을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따빠샤다. 바르나스라마 다르마 사회 전체는 따빠샤를 위해 존재한다. 고행 없이 인간은 해방을 구할 수 없다. 삶에서 고행은 필요 없고 계속 사색만 하더라도 모든 것이 잘 될 거라는 이론은 베다에서도, 바가바드 기따에서도 권장되지 않는다. 그러한 이론은 더 많은 추종자를 끌어모으는 데 혈안이 되어 있는 가짜 영성주의자들이 지어낸 것이다. 금지사항, 규정과 규칙이 많으면 사람들이 따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종교의 이름으로 추종자들을 원하는 자들은 제자들의 삶을 통제하지 않고, 자신의 삶도 통제하지 않으며 단지 쇼를 할 뿐이다. 이러한 방법은 베다가 허가하는 방법이 아니다.

As far as the brahminical quality of simplicity is concerned, not only should a particular order of life follow this principle, but every member, be he in the brahmacārī āśrama, gṛhastha āśrama, vānaprastha āśrama or sannyāsa āśrama. One should be very simple and straightforward.

간소함이라는 브라흐마나의 자질에 관해 보자면, 특정 삶의 단계에 있는 자들만이 아니라 브라흐마짜리, 그리하스타, 바나쁘라스타, 산냐사 아스라마에 있는 모든 구성원이 이 원칙을 따라야 한다. 우리는 아주 간소해야 하며 직설적이어야 한다.

Ahiṁsā means not arresting the progressive life of any living entity. One should not think that since the spirit spark is never killed even after the killing of the body there is no harm in killing animals for sense gratification. People are now addicted to eating animals, in spite of having an ample supply of grains, fruits and milk. There is no necessity for animal killing. This injunction is for everyone. When there is no alternative, one may kill an animal, but it should be offered in sacrifice. At any rate, when there is an ample food supply for humanity, persons who are desiring to make advancement in spiritual realization should not commit violence to animals. Real ahiṁsā means not checking anyone’s progressive life. The animals are also making progress in their evolutionary life by transmigrating from one category of animal life to another. If a particular animal is killed, then his progress is checked. If an animal is staying in a particular body for so many days or so many years and is untimely killed, then he has to come back again in that form of life to complete the remaining days in order to be promoted to another species of life. So their progress should not be checked simply to satisfy one’s palate. This is called ahiṁsā.

아힘사(ahiṁsā)란 어떠한 생명체의 삶도 가로막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영적 불꽃은 몸이 사라진 다음에도 절대 죽지 않기 때문에 감각 만족을 위해 동물을 죽여도 해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충분한 곡식과 과일, 그리고 우유가 있음에도 사람들은 지금 고기를 먹는 데 중독되어 있다. 동물을 죽일 필요가 없다. 이 권고 사항은 모두를 위한 것이다. 다른 어떠한 대안이 없다면 동물을 죽일 수 있지만, 그것은 희생제의에 바쳐져야 한다. 어쨌든, 인류에게 충분한 음식이 있는 이상, 영적 깨달음의 전진을 바라는 자는 동물에게 폭력을 가해서는 안 된다. 진정한 비폭력은 다른 자의 나아가는 삶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동물 역시 이 동물의 삶에서 또 다른 삶으로 옮겨가면서 진화하는 삶을 나아가고 있다. 우리가 특정 동물을 죽이면, 그 동물의 이런 과정이 방해받는다. 어느 동물이 특정한 몸에서 며칠이나 몇 년을 살기로 되어 있는데 불시에 죽임을 당하면 남은 삶을 채우기 위해서 다시 그 형태의 몸으로 돌아와야 하며, 그러고 나서 다음 생으로 올라갈 수 있다. 그래서 그들의 삶의 과정이 우리의 입맛을 만족시키기 위해 방해받아서는 안 된다. 이것을 아힘사라고 한다.

Satyam. This word means that one should not distort the truth for some personal interest. In Vedic literature there are some difficult passages, but the meaning or the purpose should be learned from a bona fide spiritual master. That is the process for understanding the Vedas. Śruti means that one should hear from the authority. One should not construe some interpretation for his personal interest. There are so many commentaries on Bhagavad-gītā that misinterpret the original text. The real import of the word should be presented, and that should be learned from a bona fide spiritual master.

사땸(satyam)이라는 말은 개인적 이득을 위해 진리를 왜곡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베다의 문헌에 어려운 구절이 여럿 있는데, 그 의미나 취지는 반드시 진정한 영적 스승에게서 배워야 한다. 이것이 베다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스루띠란 권위자에게서 들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자기 이득을 위해 자의적 해석을 해서는 안 된다. 바가바드 기따의 원문을 잘못 해석하는 수많은 논평이 있다. 말의 참된 취지를 제시해야 하며, 이것은 진정한 영적 스승에게서 배워야 한다.

Akrodha means to check anger. Even if there is provocation one should be tolerant, for once one becomes angry his whole body becomes polluted. Anger is a product of the mode of passion and lust, so one who is transcendentally situated should check himself from anger. Apaiśunam means that one should not find fault with others or correct them unnecessarily. Of course to call a thief a thief is not faultfinding, but to call an honest person a thief is very much offensive for one who is making advancement in spiritual life. Hrī means that one should be very modest and must not perform some act which is abominable. Acāpalam, determination, means that one should not be agitated or frustrated in some attempt. There may be failure in some attempt, but one should not be sorry for that; he should make progress with patience and determination.

아끄로다(akrodha)는 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자극이 있더라도 참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화를 내면 온몸이 더러워지기 때문이다. 화는 동성과 욕망의 산물이어서 초월적 위치에 오르려는 사람은 화를 내지 말아야 한다. 아빠이슈남(apaiśunam)은 불필요하게 남의 흠을 잡고 그것을 고치려 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물론 도둑을 도둑이라 하는 것을 흠잡는 것이라 하지 않지만, 영적 생활을 하는 정직한 사람을 도둑이라 하는 것은 아주 큰 잘못이다. 흐리(hrī)란 정숙해야 하고, 가증스러운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아짜빨람(acāpalam), 즉 결심이란 어떠한 시도를 할 때 동요하거나 좌절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시도에 실패가 있을 수 있지만 우리는 그것에 슬퍼해서는 안 된다. 인내와 굳은 결심으로 나아가야 한다.

The word tejas used here is meant for the kṣatriyas. The kṣatriyas should always be very strong to be able to give protection to the weak. They should not pose themselves as nonviolent. If violence is required, they must exhibit it. But a person who is able to curb down his enemy may under certain conditions show forgiveness. He may excuse minor offenses.

여기에 나온 떼자스(tejas)라는 말은 끄샤뜨리야를 위한 것이다. 끄샤뜨리야는 항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아주 강해야 한다. 그들은 자신을 폭력적이지 않은 사람이라고 가장해서는 안 된다. 폭력이 요구되면 반드시 써야 한다. 그러나 적을 무찌를 수 있는 사람이 특정 상황에서 용서를 베풀 수도 있다. 작은 잘못은 용서할 수 있는 것이다.

Śaucam means cleanliness, not only in mind and body but in one’s dealings also. It is especially meant for the mercantile people, who should not deal in the black market. Nāti-mānitā, not expecting honor, applies to the śūdras, the worker class, which are considered, according to Vedic injunctions, to be the lowest of the four classes. They should not be puffed up with unnecessary prestige or honor and should remain in their own status. It is the duty of the śūdras to offer respect to the higher class for the upkeep of the social order.

샤우짬(śaucam)이란 깨끗함을 말하는데, 몸과 마음뿐만 아니라 여러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특히 상인을 위한 것으로 암시장에서 거래해서는 안 됨을 의미한다. 나띠-마니따(nāti-mānitā), 즉 명예를 기대하지 않는 것은 슈드라에 해당하는데, 베다의 규정에 따르면 이들은 네 계층 중 가장 낮은 계층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불필요한 위신과 명예로 거만해서는 안 되며 자기 위치에 머물러야 한다. 사회 질서의 유지를 위해 더 높은 계층을 존경하는 것이 슈드라의 의무이다.

All these twenty-six qualifications mentioned are transcendental qualities. They should be cultiv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atuses of social and occupational order. The purport is that even though material conditions are miserable, if these qualities are developed by practice, by all classes of men, then gradually it is possible to rise to the highest platform of transcendental realization.

여기에 언급된 스물여섯 가지 자질은 모두 초월적인 자질이다. 이 자질들은 서로 다른 사회적, 직업적 질서에 따라 배양되어야 한다. 그 취지는 물질적 상태가 아무리 고통스럽다고 하더라도 모든 사람이 이러한 자질을 발전시키는 연습을 하면 점차 초월적 깨달음의 가장 높은 경지로 오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