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1

제1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श्रीभगवानुवाच
ऊर्ध्वमूलमध:शाखमश्वत्थं प्राहुरव्ययम् ।
छन्दांसि यस्य पर्णानि यस्तं वेद स वेदवित् ॥ १ ॥

Text

원문

śrī-bhagavān uvāca
ūrdhva-mūlam adhaḥ-śākham
aśvatthaṁ prāhur avyayam
chandāṁsi yasya parṇāni
yas taṁ veda sa veda-vit
스리-바가반 우바짜 śrī-bhagavān uvāca
우르드바-물람 아다-샤캄 ūrdhva-mūlam adhaḥ-śākham
아스밧탐 쁘라후라뱌얌 aśvatthaṁ prāhur avyayam
찬담시 야샤 빠르나니 chandāṁsi yasya parṇāni
야스 땀 베다 사 베다-빗 yas taṁ veda sa veda-vit

Synonyms

동의어

śrī-bhagavān uvāca —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said; ūrdhva-mūlam — with roots above; adhaḥ — downwards; śākham — branches; aśvattham — a banyan tree; prāhuḥ — is said; avyayam — eternal; chandāṁsi — the Vedic hymns; yasya — of which; parṇāni — the leaves; yaḥ — anyone who; tam — that; veda — knows; saḥ — he; veda-vit — the knower of the Vedas.

스리-바가반 우바짜: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우르드바-물람: 뿌리가 위로 올라가는, 아다하: 아래로, 샤캄: 가지들, 아스밧탐: 반얀(보리수)나무, 쁘라후: 라고 한다, 아뱌얌: 영원한, 찬담시: 베다의 구송, 야샤: 그것의, 빠르나니: 잎사귀들, 야하: 누구나, 땀: 그것, 베다: 알다, 사하: 그는, 베다-빗 :베다를 아는 자.

Translation

번역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said: It is said that there is an imperishable banyan tree that has its roots upward and its branches down and whose leaves are the Vedic hymns. One who knows this tree is the knower of the Vedas.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뿌리는 위로 향하고, 가지는 아래로 뻗으며 잎은 베다 찬가인 불멸의 반얀나무가 있다고 일컬어진다. 이 나무를 아는 자가 베다를 아는 자이다.

Purport

주석

After the discussion of the importance of bhakti-yoga, one may question, “What about the Vedas?” It is explained in this chapter that the purpose of Vedic study is to understand Kṛṣṇa. Therefore one who is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who is engaged in devotional service, already knows the Vedas.

박띠 요가의 중요성을 논의한 다음, “그러면 베다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는가?” 라고 질문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 장에서 베다 연구의 목적은 끄리쉬나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끄리쉬나 의식으로 봉헌에 종사하고 있는 자는 이미 베다를 아는 것이다.

The entanglement of this material world is compared here to a banyan tree. For one who is engaged in fruitive activities, there is no end to the banyan tree. He wanders from one branch to another, to another, to another. The tree of this material world has no end, and for one who is attached to this tree, there is no possibility of liberation. The Vedic hymns, meant for elevating oneself, are called the leaves of this tree. This tree’s roots grow upward because they begin from where Brahmā is located, the topmost planet of this universe. If one can understand this indestructible tree of illusion, then one can get out of it.

이 물질계의 얽힘은 여기에서 반얀나무로 비유되었다. 결실을 바라는 행위에 전념하는 자에게 반얀나무의 끝은 없다. 그는 이 가지에서 저 가지로 방황한다. 이 물질계의 나무는 끝이 없고, 이 나무에 집착하는 자는 해방을 얻을 수 없다. 우리를 고양하기 위한 베다의 찬가는 이 나무의 잎들이다. 이 나무의 뿌리는 이 우주의 가장 높은 행성인 브라흐마가 있는 곳에서 시작하므로 위로 자란다. 만약 이 불멸하는 환영의 나무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곳에서 벗어날 수 있다.

This process of extric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previous chapters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re are many processes by which to get out of the material entanglement. And, up to the Thirteenth Chapter, we have seen that devotional service to the Supreme Lord is the best way. Now, the basic principle of devotional service is detachment from material activities and attachment to the transcendental service of the Lord. The process of breaking attachment to the material world is discussed in the beginning of this chapter. The root of this material existence grows upward. This means that it begins from the total material substance, from the topmost planet of the universe. From there, the whole universe is expanded, with so many branches, representing the various planetary systems. The fruits represent the results of the living entities’ activities, namely, religion, economic development, sense gratification and liberation.

이 탈출의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이 앞 장에서 물질적 얽힘에서 벗어날 수 있는 많은 과정이 있다고 설명되었다. 그리고 제13장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지고한 주를 향한 봉헌이 최고의 방법이라는 것을 이해했다. 이제 봉헌의 근본 원칙은 물질적 행위에 초연하고 주를 향한 초월적 봉사에 애착하는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물질계에 대한 집착을 끊는 과정이 이 장의 서두에서 논의된다. 이 물질적 존재의 뿌리는 위로 자란다. 이 말은 뿌리가 전체 물질의 토대인 우주의 가장 높은 행성에서 시작된다는 뜻이다. 그곳에서 전 우주가 아주  많은 가지로 확장됐으며, 다양한 행성 체계로 나타난다. 그 나무의 열매는 생명체가 한 행위의 결과, 이를테면 종교, 경제 발전, 감각 만족, 해방을 나타낸다.

Now, there is no ready experience in this world of a tree situated with its branches down and its roots upward, but there is such a thing. That tree can be found beside a reservoir of water. We can see that the trees on the bank reflect upon the water with their branches down and roots up. In other words, the tree of this material world is only a reflection of the real tree of the spiritual world. This reflection of the spiritual world is situated on desire, just as a tree’s reflection is situated on water. Desire is the cause of things’ being situated in this reflected material light. One who wants to get out of this material existence must know this tree thoroughly through analytical study. Then he can cut off his relationship with it.

이 세상에서 가지가 아래로 자라고, 뿌리가 위로 자라는 나무를 실제로 경험할 수 없지만 그러한 나무가 있다. 그 나무는 호숫가에서 발견될 수 있다. 우리는 둑 위의 나무가 물에 투영되어 가지는 아래로 향하고 뿌리는 위로 뻗은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말로, 이 물질계의 나무는 영계에 있는 진짜 나무의 투영일 뿐이다. 영계의 이러한 투영은 나무의 투영이 물 위에 비치듯이, 우리의 욕망에 자리 잡는다. 욕망은 이 투영된 물질적 빛에 자리 잡은 것들의 원인이다. 이 물질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자는 분석적 연구를 통해 이 나무를 철저하게 알아야 한다. 그래야 그에 얽힌 관계를 끊을 수 있다.

This tree, being the reflection of the real tree, is an exact replica. Everything is there in the spiritual world. The impersonalists take Brahman to be the root of this material tree, and from the root, according to Sāṅkhya philosophy, come prakṛti, puruṣa, then the three guṇas, then the five gross elements (pañca-mahā-bhūta), then the ten senses (daśendriya), mind, etc. In this way they divide up the whole material world into twenty-four elements. If Brahman is the center of all manifestations, then this material world is a manifestation of the center by 180 degrees, and the other 180 degrees constitute the spiritual world. The material world is the perverted reflection, so the spiritual world must have the same variegatedness, but in reality. The prakṛti is the external energy of the Supreme Lord, and the puruṣa is the Supreme Lord Himself, and that is explained in Bhagavad-gītā. Since this manifestation is material, it is temporary. A reflection is temporary, for it is sometimes seen and sometimes not seen. But the origin from whence the reflection is reflected is eternal. The material reflection of the real tree has to be cut off. When it is said that a person knows the Vedas, it is assumed that he knows how to cut off attachment to this material world. If one knows that process, he actually knows the Vedas. One who is attracted by the ritualistic formulas of the Vedas is attracted by the beautiful green leaves of the tree. He does not exactly know the purpose of the Vedas. The purpose of the Vedas, as disclosed by the Personality of Godhead Himself, is to cut down this reflected tree and attain the real tree of the spiritual world.

진짜 나무의 투영인 이 나무는 완전한 모형이다. 모든 것은 영계에 존재한다. 비인성주의자들은 브라흐만이 이 물질적 나무의 뿌리로 간주하며, 상캬 철학에 따르면 그 뿌리에서 쁘라끄리띠, 뿌루샤, 그다음 세 가지 구나(guṇa), 그다음 다섯 가지 총체 요소(빤짜-마하-부따 pañca-mahā-bhūta), 그다음 열 가지 감각(다센드리야 daśendriya), 그리고 마음 등이 생겨났다. 이런 식으로 물질계 전체는 스물네 개의 구성요소로 분류된다. 브라흐만을 모든 발현의 중심으로 삼으면, 이 물질계는 그 중심에서 180도 회전한 모습이고, 그 맞은편 180도가 바로 영계이다. 물질계는 왜곡된 투영이고 영계에는 물질계와 똑같은 다양성이 존재하고 물질계의 실체이다. 쁘라끄리띠는 지고한 주의 외적 에너지이고, 뿌루샤는 지고한 주 당신이라고 바가바드 기따에서 설명되었다. 물질계의 발현은 물질이므로 일시적이다. 투영은 때로는 그 모습이 보이고, 때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일시적이다. 누군가 베다를 안다고 하면 이 물질계에 대한 집착을 어떻게 끊는지 안다고 여겨진다. 그 과정을 알면 사실상 베다를 아는 것이다. 베다의 의례적 형식에 매료되는 자는 이 나무의 아름다운 푸른 잎에 매료되는 것이다. 그는 베다의 진짜 목적을 모른다. 베다의 목적은 최고인격신께서 직접 밝히신 바와 같이, 투영된 나무를 없애고 영계의 진짜 나무를 얻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