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6

제 6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तत्र सत्त्वं निर्मलत्वात्प्रकाशकमनामयम् ।
सुखसङ्गेन बध्‍नाति ज्ञानसङ्गेन चानघ ॥ ६ ॥

Text

원문

tatra sattvaṁ nirmalatvāt
prakāśakam anāmayam
sukha-saṅgena badhnāti
jñāna-saṅgena cānagha
따뜨라 삿뜨밤 니르말라뜨밧 tatra sattvaṁ nirmalatvāt
쁘라까샤깜 아나마얌 prakāśakam anāmayam
수카-상게나 바드나띠 sukha-saṅgena badhnāti
갸나-상게나 짜나가 jñāna-saṅgena cānagha

Synonyms

동의어

tatra — there; sattvam — the mode of goodness; nirmalatvāt — being purest in the material world; prakāśakam — illuminating; anāmayam — without any sinful reaction; sukha — with happiness; saṅgena — by association; badhnāti — conditions; jñāna — with knowledge; saṅgena — by association; ca — also; anagha — O sinless one.

따뜨라: 거기에, 삿뜨밤: 선성, 니르말라뜨밧: 물질계에서 가장 순수한, 쁘라까샤깜: 빛나는, 아나마얌: 어떠한 죄업도 없이, 수카: 행복으로, 상게나: 만남으로, 바드나띠: 조건들, 갸나: 지식으로, 상게나: 만남으로, 짜: 또한, 아나가: 오 죄 없는 자여.

Translation

번역

O sinless one, the mode of goodness, being purer than the others, is illuminating, and it frees one from all sinful reactions. Those situated in that mode become conditioned by a sense of happiness and knowledge.

오 죄 없는 자여, 다른 어떠한 것보다도 순수한 선성은 빛을 밝혀 우리를 모든 죄업에서 벗어나게 한다. 그곳에 이른 자들은 행복감과 지식으로 속박되느니라.

Purport

주석

The living entities conditioned by material nature are of various types. One is happy, another is very active, and another is helpless. All these types of psychological manifestations are causes of the entities’ conditioned status in nature. How they are differently conditioned is explained in this section of Bhagavad-gītā. The mode of goodness is first considered. The effect of developing the mode of goodness in the material world is that one becomes wiser than those otherwise conditioned. A man in the mode of goodness is not so much affected by material miseries, and he has a sense of advancement in material knowledge. The representative type is the brāhmaṇa, who is supposed to be situated in the mode of goodness. This sense of happiness is due to understanding that, in the mode of goodness, one is more or less free from sinful reactions. Actually, in the Vedic literature it is said that the mode of goodness means greater knowledge and a greater sense of happiness.

물질적 본성에 의해 속박된 생명체의 종류는 다양하다. 어떤 자는 행복하고, 어떤 자는 매우 활동적이며, 또 어떤 자는 어찌할 바를 모른다. 이 모든 형태의 심리적 현상은 생명체가 물질에 속박된 상태의 원인이다. 그들이 어떻게 서로 다른 상태로 속박되는지 바가바드 기따의 이 장이 설명한다. 선성이 가장 먼저 설명된다. 물질계에서 선성을 계발시킨 결과로 인간은 다른 양태에 있는 자들보다 더 현명하게 된다. 선성에 있는 자는 물질적 불행에 크게 영향받지 않으며, 물질적 지식의 발전도 갖추고 있다. 그 전형은 선성에 위치해야 마땅한 브라흐마나다. 행복감이란 선성에 위치한 자가 죄 많은 행위의 반작용(죄업)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다는 이해에서 비롯된다. 실제로 베다 문헌에서 선성이란 더 높은 지식과 커다란 행복감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The difficulty here is that when a living entity is situated in the mode of goodness he becomes conditioned to feel that he is advanced in knowledge and is better than others. In this way he becomes conditioned. The best examples are the scientist and the philosopher. Each is very proud of his knowledge, and because they generally improve their living conditions, they feel a sort of material happiness. This sense of advanced happiness in conditioned life makes them bound by the mode of goodness of material nature. As such, they are attracted toward working in the mode of goodness, and, as long as they have an attraction for working in that way, they have to take some type of body in the modes of nature. Thus there is no likelihood of liberation, or of being transferred to the spiritual world. Repeatedly one may become a philosopher, a scientist or a poet, and repeatedly become entangled in the same disadvantages of birth and death. But, due to the illusion of the material energy, one thinks that that sort of life is pleasant.

여기에서 어려운 점은 생명체가 선성에 위치하면 자기가 지식이 높고, 다른 자들보다 낫다는 생각에 속박된다는 점이다. 이런 식으로 그는 속박된다. 가장 좋은 예는 과학자와 철학자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자기 삶의 수준을 향상해서 자기 지식에 큰 자부심을 느끼고 일종의 물질적 행복감을 느낀다. 속박된 삶에서 느끼는 이러한 진보한 행복감이 그들을 물질적 본성의 선성에 속박되게 한다. 이처럼 그들은 선성에서 일하는 데 매료되며, 이런 식으로 일하는 데 끌리는 한, 이 물질적 양태에 맞는 형태의 몸을 받게 된다. 따라서 해방, 즉 영계로 올라갈 가능성은 매우 드물다. 계속해서 철학자, 과학자, 또는 시인이 될 수는 있겠지만 반복되는 생사윤회의 고리에 얽매이게 된다. 그렇지만 물질적 에너지에서 비롯된 환영 탓에 인간은 그러한 삶이 만족스럽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