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0

제20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गुणानेतानतीत्य त्रीन्देही देहसमुद्भ‍वान् ।
जन्ममृत्युजरादु:खैर्विमुक्तोऽमृतमश्न‍ुते ॥ २० ॥

Text

원문

guṇān etān atītya trīn
dehī deha-samudbhavān
janma-mṛtyu-jarā-duḥkhair
vimukto ’mṛtam aśnute
구난 에딴 아띠땨 뜨린 guṇān etān atītya trīn
데히 데하-삼욷바반 dehī deha-samudbhavān
잔마-므리뜌-자라-두카이르 janma-mṛtyu-jarā-duḥkhair
빔욱또’므리땀 아스누떼 vimukto ’mṛtam aśnute

Synonyms

동의어

guṇān — qualities; etān — all these; atītya — transcending; trīn — three; dehī — the embodied; deha — the body; samudbhavān — produced of; janma — of birth; mṛtyu — death; jarā — and old age; duḥkhaiḥ — the distresses; vimuktaḥ — being freed from; amṛtam — nectar; aśnute — he enjoys.

구난: 자질, 에딴: 이 모든 것들, 아띠땨: 초월하는, 뜨린: 세 가지, 데히: 몸을 받은 자, 데하: 육신, 삼욷바반: 생산된, 잔마: 출생의, 므리뜌: 죽음, 자라: 그리고 노년, 두카이히 :불행들, 빔욱따하: 벗어나는, 암리땀: 감로수, 아스누떼: 그는 즐긴다.

Translation

번역

When the embodied being is able to transcend these three modes associated with the material body, he can become free from birth, death, old age and their distresses and can enjoy nectar even in this life.

육체에 갇힌 생명체가 물질적 몸에 결부된 세 가지 양태를 초월할 수 있을 때, 그는 삶과 죽음, 늙음, 그리고 다른 여러 고통에서 벗어나 이생에서도 감로수를 즐길 수 있다.

Purport

주석

How one can stay in the transcendental position, even in this body, in full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explained in this verse. The Sanskrit word dehī means “embodied.” Although one is within this material body, by his advancement in spiritual knowledge he can be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modes of nature. He can enjoy the happiness of spiritual life even in this body because, after leaving this body, he is certainly going to the spiritual sky. But even in this body he can enjoy spiritual happiness. In other words, devotional servic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the sign of liberation from material entanglement, and this will be explained in the Eighteenth Chapter. When one is freed from the influence of the modes of material nature, he enters into devotional service.

우리가 어떻게 이 육신으로도 완전한 끄리쉬나 의식이 되어 초월적 상태에 있을 수 있는지 이 절에서 설명되었다. 산스끄리뜨어 “데히”는 “육체에 갇힌”을 의미한다. 비록 우리가 이 물질적 육신 안에 갇혀 있지만, 영적 지식의 향상을 이룸으로써 물질적 본성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 몸을 버린 다음, 영계로 올라갈 것이 확실하기에 현재의 몸을 하고서도 영적 삶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 바로 이 몸으로도 영적 행복을 누릴 수 있다. 다른 말로, 끄리쉬나 의식으로 하는 봉헌은 물질적 얽매임에서 해방된 표시이고, 이것은 제18장에서 설명될 것이다. 우리가 물질적 본성의 영향에서 벗어날 때 봉헌을 시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