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2

제22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पुरुष: प्रकृतिस्थो हि भुङ्क्ते प्रकृतिजान्गुणान् ।
कारणं गुणसङ्गोऽस्य सदसद्योनिजन्मसु ॥ २२ ॥

Text

원문

puruṣaḥ prakṛti-stho hi
bhuṅkte prakṛti-jān guṇān
kāraṇaṁ guṇa-saṅgo ’sya
sad-asad-yoni-janmasu
뿌루샤 쁘라끄리띠-스토 히 puruṣaḥ prakṛti-stho hi
붕떼 쁘라끄리띠-잔 구난 bhuṅkte prakṛti-jān guṇān
까라남 구나-상고’샤 kāraṇaṁ guṇa-saṅgo ’sya
삳-아삳-요니-잔마수 sad-asad-yoni-janmasu

Synonyms

동의어

puruṣaḥ — the living entity; prakṛti-sthaḥ — being situated in the material energy; hi — certainly; bhuṅkte — enjoys; prakṛti-jān — produced by the material nature; guṇān — the modes of nature; kāraṇam — the cause; guṇa-saṅgaḥ — the association with the modes of nature; asya — of the living entity; sat-asat — in good and bad; yoni — species of life; janmasu — in births.

뿌루샤하: 생명체, 쁘라끄리띠-스타하: 물질 속에 위치한, 히: 확실히, 붕떼: 즐기다, 쁘라끄리띠-잔: 물질에 의해 생산된, 구난: 물질의 양태, 까라남: 원인, 구나-상가하: 물질과의 접촉, 아샤: 생명체의, 삳-아삳: 선과 악, 요니: 여러 종의 생명, 잔마수: 여러 출생에서.

Translation

번역

The living entity in material nature thus follows the ways of life, enjoying the three modes of nature. This is due to his association with that material nature. Thus he meets with good and evil among various species.

이로써 물질에 갇힌 생명체는 물질의 세 가지 양태를 즐기는 삶을 살아가느니라. 이것은 물질과의 접촉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다양한 종 속에서 좋고 나쁨을 만난다.

Purport

주석

This verse is very important for an understanding of how the living entities transmigrate from one body to another. It is explained in the Second Chapter that the living entity is transmigrating from one body to another just as one changes dress. This change of dress is due to his attachment to material existence. As long as he is captivated by this false manifestation, he has to continue transmigrating from one body to another. Due to his desire to lord it over material nature, he is put into such undesirable circumstances. Under the influence of material desire, the entity is born sometimes as a demigod, sometimes as a man, sometimes as a beast, as a bird, as a worm, as an aquatic, as a saintly man, as a bug. This is going on. And in all cases the living entity thinks himself to be the master of his circumstances, yet he is under the influence of material nature.

이 절은 어떻게 생명체가 이 몸에서 저 몸으로 윤회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아주 중요하다. 제2장에서 우리가 옷을 갈아입듯이 생명체가 이 몸에서 저 몸으로 윤회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겉옷의 변화는 물질에 대한 집착 때문이다. 이러한 거짓 발현에 사로잡히는 한, 계속 몸을 바꾸며 윤회할 수밖에 없다. 물질을 지배하고자 하는 욕망 때문에 우리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에 놓여 있다. 물질적 욕망의 영향으로 때로는 데바로, 때로는 사람으로, 때로는 짐승, 새, 벌레, 수생동물, 때로는 성자, 때로는 곤충으로 태어난다. 이것이 계속되는 것이다. 이 모든 상황에서 생명체는 자기가 자신이 처한 환경의 주인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물질적 본성의 영향에 종속되어 있다.

How he is put into such different bodies is explained here. It is due to association with the different modes of nature. One has to rise, therefore, above the three material modes and become situated in the transcendental position. That is called Kṛṣṇa consciousness. Unless one is situat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his material consciousness will oblige him to transfer from one body to another because he has material desires since time immemorial. But he has to change that conception. That change can be effected only by hearing from authoritative sources. The best example is here: Arjuna is hearing the science of God from Kṛṣṇa. The living entity, if he submits to this hearing process, will lose his long-cherished desire to dominate material nature, and gradually and proportionately, as he reduces his long desire to dominate, he comes to enjoy spiritual happiness. In a Vedic mantra it is said that as he becomes learned in association with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he proportionately relishes his eternal blissful life.

우리가 어떻게 이러한 몸에 갇히게 되는지 여기에 설명되어 있다. 그것은 물질의 서로 다른 양태와의 접촉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물질의 세 가지 양태를 넘어서 초월적 위치에 올라야 한다. 이것을 끄리쉬나 의식이라고 한다. 우리가 끄리쉬나 의식에 위치하지 않는 한, 태곳적부터 있던 우리의 물질적 욕망으로 인해 물질적 의식이 우리를 이 몸 저 몸으로 옮겨 다니게 할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그 개념을 바꾸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권위 있는 출처에서 듣는 것으로만 효력을 볼 수 있다. 가장 좋은 예가 여기에 있다. 아르주나는 끄리쉬나에게서 절대신의 과학을 듣고 있다. 생명체가 이 듣기 과정에 귀를 기울이면 물질적 본성을 지배하고자 하는 오래된 욕망을 점점 버릴 수 있고, 그렇게 지배하고자 하는 오래된 욕망을 줄여나감에 따라 영적 행복을 누리게 된다. 베다 만뜨라에서 우리가 최고인격신과 교류하며 배워나감에 따라, 점차 영원하고 축복된 삶을 누리게 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