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0

제20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ये तु धर्मामृतमिदं यथोक्तं पर्युपासते ।
श्रद्दधाना मत्परमा भक्तास्तेऽतीव मे प्रिया: ॥ २० ॥

Text

원문

ye tu dharmāmṛtam idaṁ
yathoktaṁ paryupāsate
śraddadhānā mat-paramā
bhaktās te ’tīva me priyāḥ
예 뚜 다르맘리땀 이담 ye tu dharmāmṛtam idaṁ
야톡땀 빠류빠사떼 yathoktaṁ paryupāsate
스랃다다나 맛-빠라마 śraddadhānā mat-paramā
박따스 떼’띠바 메 쁘리야하 bhaktās te ’tīva me priyāḥ

Synonyms

동의어

ye — those who; tu — but; dharma — of religion; amṛtam — nectar; idam — this; yathā — as; uktam — said; paryupāsate — completely engage; śraddadhānāḥ — with faith; mat-paramāḥ — taking Me, the Supreme Lord, as everything; bhaktāḥ — devotees; te — they; atīva — very, very; me — to Me; priyāḥ — dear.

예: 하는 자들, 뚜: 그러나, 다르마: 종교의, 암리땀: 감로수, 이담: 이것, 야타: 같이, 욱땀: 말했다, 빠류빠사떼: 전적으로 종사하다, 스랃다다나: 믿음을 가지고, 맛-빠라마: 지고한 주 나를 모든 것으로 받아들이는, 박따하: 헌애자들, 떼: 그들, 아띠바: 아주 아주, 메: 나에게, 쁘리야하: 소중한.

Translation

번역

Those who follow this imperishable path of devotional service and who completely engage themselves with faith, making Me the supreme goal, are very, very dear to Me.

영원한 봉헌의 길을 따르며, 믿음으로 완전히 헌신하며, 나를 최상의 목표로 삼는 자들은 나에게 아주 많이 소중하다.

Purport

주석

In this chapter, from verse 2 through the end – from mayy āveśya mano ye mām (“fixing the mind on Me”) through ye tu dharmāmṛtam idam (“this religion of eternal engagement”) – the Supreme Lord has explained the processes of transcendental service for approaching Him. Such processes are very dear to the Lord, and He accepts a person engaged in them. The question of who is better – one who is engaged in the path of impersonal Brahman or one who is engaged in the personal service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 was raised by Arjuna, and the Lord replied to him so explicitly that there is no doubt that devotional service to the Personality of Godhead is the best of all processes of spiritual realization. In other words, in this chapter it is decided that through good association one develops attachment for pure devotional service and thereby accepts a bona fide spiritual master and from him begins to hear and chant and observe the regulative principles of devotional service with faith, attachment and devotion and thus becomes engaged in the transcendental service of the Lord. This path is recommended in this chapter; therefore there is no doubt that devotional service is the only absolute path for self-realization, for the attainment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The impersonal conception of the Supreme Absolute Truth, as described in this chapter, is recommended only up to the time one surrenders himself for self-realization. In other words, as long as one does not have the chance to associate with a pure devotee, the impersonal conception may be beneficial. In the impersonal conception of the Absolute Truth one works without fruitive result, meditates and cultivates knowledge to understand spirit and matter. This is necessary as long as one is not in the association of a pure devotee. Fortunately, if one develops directly a desire to engag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in pure devotional service, he does not need to undergo step-by-step improvements in spiritual realization. Devotional service, as described in the middle six chapters of Bhagavad-gītā, is more congenial. One need not bother about materials to keep body and soul together, because by the grace of the Lord everything is carried out automatically.

이 장의 제2절에서부터 마지막까지 “마이야베샤 마노 예 맘(mayy āveśya mano ye mām), 즉 나에게 마음을 집중하는”에서 시작하여 “예 뚜 다르맘리땀 이담(ye tu dharmāmṛtam idam), 즉 영원한 봉헌의 이 종교”에 이르기까지 지고한 주께서 당신께 다가가기 위한 초월적 봉헌의 과정을 설명하셨다. 그러한 과정은 주께 매우 소중한 것이며 주는 이것에 종사하는 자를 받아들이신다. 비인성적 브라흐만의 길에 헌신하는 자와 최고인격신을 위한 봉헌에 종사하는 자 중에서 누가 더 나은지에 관한 질문이 아르주나에 의해 제기되었고, 의심의 여지 없이 인격신을 향한 봉헌이 영적 깨달음의 모든 과정 중에서 최고라고 주께서 명백히 대답하셨다. 다른 말로 하면, 이 장에서 좋은 교류를 통해 순수한 봉헌에 대한 애착을 가질 수 있으며, 이어서 진정한 영적 스승을 받아들여 주에 관해 듣고 배우고 구송하며, 믿음과 애착, 그리고 헌애심으로 봉헌의 원칙들을 지키면 결국 주를 향한 초월적 봉헌에 전적으로 종사하게 된다. 이러한 길이 이 장에서 권장되었으며, 의심의 여지 없이 봉헌이 자아 인식과 최고인격신에 이르는 유일한 절대적 길이다. 지고의 절대 진리에 관한 비인성적 개념은 이 장에 설명된 바처럼, 자아 인식을 위해 항복하는 순간에 이르게 하는 데까지만 필요한 것이다. 다시 말해, 순수한 헌애자와 만날 기회가 없다면 비인성적 개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절대 진리의 비인성적 개념으로 결과에 집착 없이 일하고, 명상하며 영혼과 물질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을 배양할 수 있다. 순수한 헌애자를 만나지 못하는 한, 이것은 필요하다. 다행히 순수한 봉헌으로 끄리쉬나 의식에 직접 종사하고자 하면 영적 깨달음의 점진적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다. 바가바드 기따의 제6장 중간에서 언급되었듯이 봉헌이 우리에게 더 맞다. 모든 것이 주의 은총으로 저절로 진행되기 때문에 우리 몸을 유지하기 위한 물질적인 것들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Thus end the Bhaktivedanta Purports to the Twelfth Chapter of the Śrīmad Bhagavad-gītā in the matter of Devotional Service.

이로써 스리마드 바가바드 기따의 제12장, 봉헌에 대한 박띠베단따 주석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