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53

제53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नाहं वेदैर्न तपसा न दानेन न चेज्यया ।
शक्य एवंविधो द्रष्टुं दृष्टवानसि मां यथा ॥ ५३ ॥

Text

원문

nāhaṁ vedair na tapasā
na dānena na cejyayā
śakya evaṁ-vidho draṣṭuṁ
dṛṣṭavān asi māṁ yathā
나함 베다이르 나 따빠사 nāhaṁ vedair na tapasā
나 다네나 나 쩨쟈야 na dānena na cejyayā
샤꺄 에밤-비도 드라쉬뚬 śakya evaṁ-vidho draṣṭuṁ
드리쉬따반 아시 맘 야타 dṛṣṭavān asi māṁ yathā

Synonyms

동의어

na — never; aham — I; vedaiḥ — by study of the Vedas; na — never; tapasā — by serious penances; na — never; dānena — by charity; na — never; ca — also; ijyayā — by worship; śakyaḥ — it is possible; evam-vidhaḥ — like this; draṣṭum — to see; dṛṣṭavān — seeing; asi — you are; mām — Me; yathā — as.

나: 결코, 아함: 나는, 베다이히: 베다를 공부함으로써, 나: 결코, 따빠사: 극심한 고행으로, 나: 결코, 다네나: 자선으로, 나: 결코, 짜: 또한, 이쟈야: 숭배함으로써, 샤꺄하: 가능한, 에밤-비다하: 이처럼, 드라쉬뚬: 보다, 드리쉬따반: 보는, 아시: 너는, 맘: 나에게, 야타: 처럼.

Translation

번역

The form you are seeing with your transcendental eyes cannot be understood simply by studying the Vedas, nor by undergoing serious penances, nor by charity, nor by worship. It is not by these means that one can see Me as I am.

네 초월적 눈으로 바라보고 있는 형상은 단지 베다를 공부한다고 해서, 극심한 고행을 함으로써, 또는 자선이나 숭배를 통해서도 이해될 수 없느니라. 이러한 수단으로는 나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없다.

Purport

주석

Kṛṣṇa first appeared before His parents Devakī and Vasudeva in a four-handed form, and then He transformed Himself into the two-handed form. This mystery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for those who are atheists or who are devoid of devotional service. For scholars who have simply studied Vedic literature by way of grammatical knowledge or mere academic qualifications, Kṛṣṇa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Nor is He to be understood by persons who officially go to the temple to offer worship. They make their visit, but they cannot understand Kṛṣṇa as He is. Kṛṣṇa can be understood only through the path of devotional service, as explained by Kṛṣṇa Himself in the next verse.

끄리쉬나께서는 처음 당신의 부모 데바끼와 바수데바 앞에 네 팔 형상으로 현현하셨고, 그다음 두 팔 형상으로 당신의 모습을 바꾸셨다. 이러한 신비로움은 무신론자나 봉헌을 행하지 않는 자들이 이해하기란 몹시 어렵다. 문법적 지식이나 학위로만 베다 문헌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끄리쉬나는 이해 불가능한 대상이다. 끄리쉬나께 공식적 숭배를 올리려고 사원에 가는 자들에게 이해되는 것 또한 아니다. 그들이 사원을 방문하더라도 끄리쉬나를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 없다. 끄리쉬나 당신이 친히 다음 절에서 설명하시는 것처럼 끄리쉬나는 오직 봉헌의 길을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