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S 4-5

제4~5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बुद्धिर्ज्ञानमसम्मोह: क्षमा सत्यं दम: शम: ।
सुखं दु:खं भवोऽभावो भयं चाभयमेव च ॥ ४ ॥
अहिंसा समता तुष्टिस्तपो दानं यशोऽयश: ।
भवन्ति भावा भूतानां मत्त एव पृथग्विधा: ॥ ५ ॥

Text

원문

buddhir jñānam asammohaḥ
kṣamā satyaṁ damaḥ śamaḥ
sukhaṁ duḥkhaṁ bhavo ’bhāvo
bhayaṁ cābhayam eva ca
붇디르 갸남 아삼모하하 buddhir jñānam asammohaḥ
끄샤마 사땸 다마 샤마하 kṣamā satyaṁ damaḥ śamaḥ
수캄 두캄 바보’바보 sukhaṁ duḥkhaṁ bhavo ’bhāvo
바얌 짜바얌 에바 짜 bhayaṁ cābhayam eva ca
ahiṁsā samatā tuṣṭis
tapo dānaṁ yaśo ’yaśaḥ
bhavanti bhāvā bhūtānāṁ
matta eva pṛthag-vidhāḥ
아힘사 사마따 뚜쉬띠스 ahiṁsā samatā tuṣṭis
따뽀 다남 야쇼’야샤하 tapo dānaṁ yaśo ’yaśaḥ
바반띠 바바 부따남 bhavanti bhāvā bhūtānāṁ
맛따 에바 쁘리탁-비다하 matta eva pṛthag-vidhāḥ

Synonyms

동의어

buddhiḥ — intelligence; jñānam — knowledge; asammohaḥ — freedom from doubt; kṣamā — forgiveness; satyam — truthfulness; damaḥ — control of the senses; śamaḥ — control of the mind; sukham — happiness; duḥkham — distress; bhavaḥ — birth; abhāvaḥ — death; bhayam — fear; ca — also; abhayam — fearlessness; eva — also; ca — and; ahiṁsā — nonviolence; samatā — equilibrium; tuṣṭiḥ — satisfaction; tapaḥ — penance; dānam — charity; yaśaḥ — fame; ayaśaḥ — infamy; bhavanti — come about; bhāvāḥ — natures; bhūtānām — of living entities; mattaḥ — from Me; eva — certainly; pṛthak-vidhāḥ — variously arranged.

붇디히: 지성, 갸남: 지식, 아삼모하하: 의심에서의 해방, 끄샤마: 용서, 사땸: 진실함, 다마하: 감각의 통제, 샤마하: 마음의 통제, 수캄: 행복, 두캄: 불행, 바바하: 생(生), 아바바하: 사(死), 바얌: 두려움, 짜: 또한, 아바얌: 두려움 없음, 에바: 또한, 짜: 그리고, 아힘사: 비폭력, 사마따: 평정, 뚜쉬띠히: 만족, 따빠하: 고행, 다남: 자선, 야샤하: 명예, 아야샤하: 불명예, 바반띠: 생기다, 바바하: 본성, 부따남: 생명체들의, 맛따하: 나로부터, 에바: 분명히, 쁘리탁-비다하: 다양하게 마련된.

Translation

번역

Intelligence, knowledge, freedom from doubt and delusion, forgiveness, truthfulness, control of the senses, control of the mind, happiness and distress, birth, death, fear, fearlessness, nonviolence, equanimity, satisfaction, austerity, charity, fame and infamy – all these various qualities of living beings are created by Me alone.

지성, 지식, 의심과 착각에서의 해방, 용서, 진실함, 감각의 통제, 마음의 통제, 행복과 불행, 생과 사, 두려움, 두려움 없음, 비폭력, 평정, 만족, 고행, 자선, 명예, 그리고 불명예, 생명체의 이 모든 자질은 오직 내가 창조하느니라.

Purport

주석

The different qualities of living entities, be they good or bad, are all created by Kṛṣṇa, and they are described here.

좋든 나쁘든, 생명체의 여러 자질은 모두 끄리쉬나에 의해 생긴다고 여기에서 언급되었다.

Intelligence refers to the power to analyze things in their proper perspective, and knowledge refers to understanding what is spirit and what is matter. Ordinary knowledge obtained by a university education pertains only to matter, and it is not accepted here as knowledge. Knowledge means knowing the distinction between spirit and matter. In modern education there is no knowledge about spirit; they are simply taking care of the material elements and bodily needs. Therefore academic knowledge is not complete.

지성이란 사물을 올바른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지식이란 무엇이 영적이며, 무엇이 물질인지를 이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학 교육에서 획득하는 일반적 지식은 오로지 물질에만 관련되어 있고, 여기에서 이것은 지식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지식이란 영적인 것과 물질의 차이를 아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 교육은 영적인 것에 관한 지식이 전혀 없다. 오직 물질적 요소들과 육체적 필요만을 다룬다. 따라서 학문적 지식은 완전하지 않다.

Asammoha, freedom from doubt and delusion, can be achieved when one is not hesitant and when he understands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Slowly but surely he becomes free from bewilderment. Nothing should be accepted blindly; everything should be accepted with care and with caution. Kṣamā, tolerance and forgiveness, should be practiced; one should be tolerant and excuse the minor offenses of others. Satyam, truthfulness, means that facts should be presented as they are, for the benefit of others. Facts should not be misrepresented. According to social conventions, it is said that one can speak the truth only when it is palatable to others. But that is not truthfulness. The truth should be spoken in a straightforward way, so that others will understand actually what the facts are. If a man is a thief and if people are warned that he is a thief, that is truth. Although sometimes the truth is unpalatable, one should not refrain from speaking it. Truthfulness demands that the facts be presented as they are for the benefit of others. That is the definition of truth.

지성이란 사물을 올바른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지식이란 무엇이 영적이며, 무엇이 물질인지를 이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학 교육에서 획득하는 일반적 지식은 오로지 물질에만 관련되어 있고, 여기에서 이것은 지식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지식이란 영적인 것과 물질의 차이를 아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 교육은 영적인 것에 관한 지식이 전혀 없다. 오직 물질적 요소들과 육체적 필요만을 다룬다. 따라서 학문적 지식은 완전하지 않다.

Control of the senses means that the senses should not be used for unnecessary personal enjoyment. There is no prohibition against meeting the proper needs of the senses, but unnecessary sense enjoyment is detrimental for spiritual advancement. Therefore the senses should be restrained from unnecessary use. Similarly, one should restrain the mind from unnecessary thoughts; that is called śama. One should not spend one’s time pondering over earning money. That is a misuse of the thinking power. The mind should be used to understand the prime necessity of human beings, and that should be presented authoritatively. The power of thought should be developed in association with persons who are authorities in the scriptures, saintly persons and spiritual masters and those whose thinking is highly developed. Sukham, pleasure or happiness, should always be in that which is favorable for the cultivation of the spiritual knowledge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similarly, that which is painful or which causes distress is that which is unfavorable for the cultivation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Anything favorable for the development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should be accepted, and anything unfavorable should be rejected.

감각의 통제란 감각을 불필요한 개인적 즐거움을 위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각의 올바른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금하지 않지만 불필요한 감각 만족은 영적 진보에 해롭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감각 사용은 절제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마음도 불필요한 생각을 삼가야 한다. 이것을 샤마(śama)라고 한다. 우리는 돈을 버는 궁리를 하는 데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사고력을 잘못 사용하는 것이다. 마음은 인간의 근본적 필요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어야 하며 권위에 따라야 한다. 사고력은 경전에 정통한 사람들과 성자들, 그리고 영적 스승들과 사고가 매우 발달한 사람들과의 교제 속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수캄(Sukham), 즉 즐거움 또는 행복은 끄리쉬나 의식과 관련된 영적 지식의 배양에 이로운 것에서 늘 찾아야 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끄리쉬나 의식의 배양에 해로운 것은 우리를 고통스럽거나 불행하게 한다. 끄리쉬나 의식을 발전시키는 데 이로운 것은 무엇이든 받아들여야 하고, 해로운 것은 거부해야 한다.

Bhava, birth,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the body. As far as the soul is concerned, there is neither birth nor death; that we have discussed in the beginning of Bhagavad-gītā. Birth and death apply to one’s embodiment in the material world. Fear is due to worrying about the future. A person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has no fear because by his activities he is sure to go back to the spiritual sky, back home, back to Godhead. Therefore his future is very bright. Others, however, do not know what their future holds; they have no knowledge of what the next life holds. So they are therefore in constant anxiety. If we want to get free from anxiety, then the best course is to understand Kṛṣṇa and be situated always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In that way we will be free from all fear. In the Śrīmad-Bhāgavatam (11.2.37) it is stated, bhayaṁ dvitīyābhiniveśataḥ syāt: fear is caused by our absorption in the illusory energy. But those who are free from the illusory energy, those who are confident that they are not the material body, that they are spiritual parts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and who are therefore engaged in the transcendental service of the Supreme Godhead, have nothing to fear. Their future is very bright. This fear is a condition of persons who are not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bhayam, fearlessness, is possible only for on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바바(Bhava), 출생은 육신과 관련해 이해되어야 한다. 영혼은 태어나지도 죽지도 않는다.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의 서두에서 이미 논의했다. 생과 사는 물질계에 태어난 육신에 적용된다. 두려움이란 미래에 관한 걱정으로 생긴다.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자기의 행위로 영적 하늘, 우리의 고향, 절대신께 돌아갈 것이 확실하기에 두려움이 전혀 없다. 따라서 그의 장래는 밝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자기 미래가 어찌 될지 모른다. 그들은 다음 생이 어떠할지 전혀 알지 못한다. 따라서 그들은 항상 걱정 속에 있다. 근심에서 벗어나고자 한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끄리쉬나를 이해하는 것이며 항상 끄리쉬나 의식에 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모든 두려움에서 벗어날 것이다. 스리마드 바가바땀(11.2.37)에서 “바얌 드비띠야비니베샤따 샷(bhayaṁ dvitīyābhiniveśataḥ syāt), 즉 두려움은 환영적 에너지에 몰두하는 데서 비롯된다.” 그러나 환영적 에너지에서 벗어난 사람들, 즉 자기가 물질적 육신이 아니고 최고인격신의 영적 부분임을 확신하는 자들은 지고한 주를 위한 초월적 봉헌에 종사하므로 두려워할 것이 없다. 그들의 장래는 아주 밝다. 이 두려움은 끄리쉬나 의식이 아닌 사람들의 상태이다. 아바얌(Abhayam), 두려움 없음은 오직 끄리쉬나 의식에 있는 자에게만 가능하다.

Ahiṁsā, nonviolence, means that one should not do anything which will put others into misery or confusion. Material activities that are promised by so many politicians, sociologists, philanthropists, etc., do not produce very good results because the politicians and philanthropists have no transcendental vision; they do not know what is actually beneficial for human society. Ahiṁsā means that people should be trained in such a way that the full utilization of the human body can be achieved. The human body is meant for spiritual realization, so any movement or any commissions which do not further that end commit violence on the human body. That which furthers the future spiritual happiness of the people in general is called nonviolence.

아힘사(Ahiṁsā), 비폭력이란 다른 사람을 불행하게 하거나 혼란에 빠뜨리는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많은 정치인과 사회학자, 철학자 등이 약속하는 물질적 행위는 초월적 비전이 없어서 좋은 결과를 생산해내지 못한다. 그들은 인간 사회를 위해 무엇이 진정 이로운지 모른다. 아힘사란 인간의 육신을 올바로 이용할 수 있게 사람들을 훈련할 때 성취할 수 있다. 인간의 몸은 영적 깨달음을 위한 것이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나아가지 않는 어떠한 움직임이나 행위는 인간의 육신에 대한 폭력이다. 사람들 대부분의 영적 행복을 장래에 증가시키는 것을 비폭력이라 한다.

Samatā, equanimity, refers to freedom from attachment and aversion. To be very much attached or to be very much detached is not the best. This material world should be accepted without attachment or aversion. That which is favorable for prosecuting Kṛṣṇa consciousness should be accepted; that which is unfavorable should be rejected. That is called samatā, equanimity. A person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has nothing to reject and nothing to accept save in terms of its usefulness in the prosecution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사마따(Samatā), 평정이란 집착과 혐오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매우 집착하거나 매우 무관심한 것은 좋은 것이 아니다. 집착이나 혐오함 없이 이 물질계를 받아들여야 한다. 끄리쉬나 의식의 수행에 이로운 것은 받아들여야 하고 해로운 것은 거부해야 한다. 이것을 사마따, 평정이라고 한다.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거부할 것도 없고, 끄리쉬나 의식의 수행에 유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받아들일 것도 없다.

Tuṣṭi, satisfaction, means that one should not be eager to gather more and more material goods by unnecessary activity. One should be satisfied with whatever is obtained by the grace of the Supreme Lord; that is called satisfaction. Tapas means austerity or penance. There are many rules and regulations in the Vedas which apply here, like rising early in the morning and taking a bath. Sometimes it is very troublesome to rise early in the morning, but whatever voluntary trouble one may suffer in this way is called penance. Similarly, there are prescriptions for fasting on certain days of the month. One may not be inclined to practice such fasting, but because of his determination to make advancement in the science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he should accept such bodily troubles when they are recommended. However, one should not fast unnecessarily or against Vedic injunctions. One should not fast for some political purpose; that is described in Bhagavad-gītā as fasting in ignorance, and anything done in ignorance or passion does not lead to spiritual advancement. Everything done in the mode of goodness does advance one, however, and fasting done in terms of the Vedic injunctions enriches one in spiritual knowledge.

뚜쉬띠(Tuṣṭi), 즉 만족이란 불필요한 행동으로 자꾸 물질적인 것들을 모으고자 애쓰지 말아야 함을 의미한다. 주의 은총으로 얻게 된 무엇이든 그것에 만족해야 한다. 이것을 만족이라 한다. 따빠스(Tapas)란 금욕이나 고행을 의미한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목욕하는 것처럼 베다에는 많은 규칙과 규정이 있다. 때때로 아침 일찍 일어나는 것이 성가시기도 하지만, 이렇게 자발적으로 행하는 어려움을 고행이라 한다. 이처럼, 특정한 날에 단식도 규정한다. 그러한 단식을 하고 싶지 않아도 끄리쉬나 의식의 과학에서 진보를 이루려는 굳은 결심으로 단식일에는 육체적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불필요하게 단식하거나 베다의 규정에 거슬러 단식해서는 안 된다. 정치적 이유로 단식해서도 안 된다. 바가바드 기따에 이것을 무지함으로 하는 단식이라고 하며, 암성과 동성으로 한 행위는 영적 진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선성으로 행한 것은 우리를 발전시키며 베다의 규정에 따른 단식은 영적 지식을 풍만하게 한다.

As far as charity is concerned, one should give fifty percent of his earnings to some good cause. And what is a good cause? It is that which is conducted in terms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That is not only a good cause, but the best cause. Because Kṛṣṇa is good, His cause is also good. Thus charity should be given to a person who is engag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Vedic literature, it is enjoined that charity should be given to the brāhmaṇas. This practice is still followed, although not very nicely in terms of the Vedic injunction. But still the injunction is that charity should be given to the brāhmaṇas. Why? Because they are engaged in higher cultivation of spiritual knowledge. A brāhmaṇa is supposed to devote his whole life to understanding Brahman. Brahma jānātīti brāhmaṇaḥ: one who knows Brahman is called a brāhmaṇa. Thus charity is offered to the brāhmaṇas because they are always engaged in higher spiritual service and have no time to earn their livelihood. In the Vedic literature, charity is also to be awarded to one in the renounced order of life, the sannyāsī. The sannyāsīs beg from door to door, not for money but for missionary purposes. The system is that they go from door to door to awaken the householders from the slumber of ignorance. Because the householders are engaged in family affairs and have forgotten their actual purpose in life – awakening their Kṛṣṇa consciousness – it is the business of the sannyāsīs to go as beggars to the householders and encourage them to be Kṛṣṇa conscious. As it is said in the Vedas, one should awake and achieve what is due him in this human form of life. This knowledge and method is distributed by the sannyāsīs; hence charity is to be given to the renouncer of life, to the brāhmaṇas, and similar good causes, not to any whimsical cause.

자선에 관해 보면, 자기 수입의 절반은 좋은 목적에 바쳐야 한다. 그러면 좋은 목적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끄리쉬나 의식에 관련된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좋은 목적일 뿐만 아니라, 최고의 목적이다. 끄리쉬나가 좋기 때문에 당신의 목적도 좋다. 따라서 끄리쉬나 의식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자선을 베풀어야 한다. 베다 문헌에 따르면 브라흐마나들에게 자선하라고 명한다. 이 실천은 비록 그 지시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아주 잘 이행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지시 사항은 자선은 브라흐마나들에게 베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왜 그러한가? 그들은 높은 영적 지식의 배양에 종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브라흐마나란 자기 삶 전체를 브라흐만의 이해에 바치게 되어 있다. “브라흐마 자나띠띠 브라흐마나하(Brahma jānātīti brāhmaṇaḥ).” 브라흐만(Brahman)을 아는 자를 브라흐마나(brāhmaṇa)라고 한다. 따라서 브라흐마나들은 항상 드높은 영적 봉사에 종사하고 자신의 생계를 돌볼 시간이 없기 때문에 그들에게 자선을 베풀어야 한다. 베다의 문헌은 버리는 삶의 질서에 있는 사람, 즉 산냐시에게도 자선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산냐시들이 집마다 구걸하는 것은 돈을 위해서가 아니라 선교를 위해서이다. 이 제도는 무지에 잠든 가정인들을 일깨우고자 집집이 방문하는 것이다. 가정인들은 가사에 몰두하느라 삶의 실제 목적, 끄리쉬나 의식을 잊고 있어서 산냐시들이 가정인들에게 구걸하러 다니며 그들이 끄리쉬나 의식이 되도록 권장한다. 베다에서 말하는 것처럼, 우리는 깨어나 인간 형태의 삶에서 성취해야 할 것을 이루어야 한다. 이 지식과 방법을 산냐시들이 나누어 준다. 그래서 산냐시와 브라흐마나, 그리고 이와 유사한 좋은 목적을 위해 자선해야 하며 아무 데나 해서는 안 된다.

Yaśas, fame, should be according to Lord Caitanya, who said that a man is famous when he is known as a great devotee. That is real fame. If one has become a great man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it is known, then he is truly famous. One who does not have such fame is infamous.

야샤스(Yaśas), 명성의 정의는 주 짜이따냐에 따르면 위대한 헌애자로서 알려질 때, 유명하다고 한다. 이것이 진짜 명성이다. 끄리쉬나 의식에서 위대한 자가 되면 자연히 알려지고 진정으로 유명해진다. 이러한 명성을 가지지 않은 자는 유명한 것이 아니다.

All these qualities are manifest throughout the universe in human society and in the society of the demigods. There are many forms of humanity on other planets, and these qualities are there. Now, for one who wants to advanc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Kṛṣṇa creates all these qualities, but the person develops them himself from within. One who engages in the devotional service of the Supreme Lord develops all the good qualities, as arranged by the Supreme Lord.

이 모든 특징은 인간 사회와 데바들 사회 전체에 나타난다. 다른 행성들에는 다른 형태의 인류가 존재하고 이 자질들은 거기에도 있다. 끄리쉬나께서 이 모든 자질을 창조하시지만, 이제 끄리쉬나 의식에서 진보하고자 하는 자는 스스로 자기 안에서 이것들을 개발해야 한다. 지고한 주의 봉헌에 종사하는 자는 주께서 마련해주신 모든 좋은 자질을 배양하게 된다.

Of whatever we find, good or bad, the origin is Kṛṣṇa. Nothing can manifest itself in this material world which is not in Kṛṣṇa. That is knowledge; although we know that things are differently situated, we should realize that everything flows from Kṛṣṇa.

좋든 나쁘든 우리가 보는 것의 기원은 끄리쉬나이다. 끄리쉬나께 존재하지 않는 어떠한 것도 이 물질계에서 저절로 나타날 수 없다. 이것이 지식이다. 비록 모든 것이 다른 상황에 있더라도 모든 것은 끄리쉬나에게서 흘러나온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