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34

제34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मृत्यु: सर्वहरश्चाहमुद्भ‍वश्च भविष्यताम् ।
कीर्ति: श्रीर्वाक्‍च नारीणां स्मृतिर्मेधा धृति: क्षमा ॥ ३४ ॥

Text

원문

mṛtyuḥ sarva-haraś cāham
udbhavaś ca bhaviṣyatām
kīrtiḥ śrīr vāk ca nārīṇāṁ
smṛtir medhā dhṛtiḥ kṣamā
므리뜌 사르바-하라스 짜함 mṛtyuḥ sarva-haraś cāham
욷바바스 짜 바비샤땀 udbhavaś ca bhaviṣyatām
끼르띠 스리르 박 짜 나리남 kīrtiḥ śrīr vāk ca nārīṇāṁ
스므리띠르 메다 드리띠 끄샤마 smṛtir medhā dhṛtiḥ kṣamā

Synonyms

동의어

mṛtyuḥ — death; sarva-haraḥ — all-devouring; ca — also; aham — I am; udbhavaḥ — generation; ca — also; bhaviṣyatām — of future manifestations; kīrtiḥ — fame; śrīḥ — opulence or beauty; vāk — fine speech; ca — also; nārīṇām — of women; smṛtiḥ — memory; medhā — intelligence; dhṛtiḥ — firmness; kṣamā — patience.

므리뜌후: 죽음, 사르바-하라하: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짜: 또한, 아함: 나는, 욷바바하: 세대, 짜: 또한, 바비샤땀: 미래의 발현, 끼르띠히: 명성, 스리히: 풍요 또는 아름다움, 박: 멋진 연설, 짜: 또한, 나리남: 여자들의, 스므리띠히: 기억, 메다: 지성, 드리띠히: 단호함, 끄샤마: 인내.

Translation

번역

I am all-devouring death, and I am the generating principle of all that is yet to be. Among women I am fame, fortune, fine speech, memory, intelligence, steadfastness and patience.

나는 모든 것을 삼키는 죽음이며, 아직 태어나지 않은 것들의 발생 원칙이니라. 여자들 가운데 나는 명성, 재산, 품위 있는 말투, 기억, 지성, 확고함 그리고 인내심이니라.

Purport

주석

As soon as a man is born, he dies at every moment. Thus death is devouring every living entity at every moment, but the last stroke is called death itself. That death is Kṛṣṇa. As for future development, all living entities undergo six basic changes. They are born, they grow, they remain for some time, they reproduce, they dwindle, and finally they vanish. Of these changes, the first is deliverance from the womb, and that is Kṛṣṇa. The first generation is the beginning of all future activities.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매 순간 죽고 있다. 따라서 죽음은 매 순간 모든 생명체를 삼키고 있고, 그 마지막 일격을 죽음이라고 부른다. 그 죽음이 끄리쉬나이다. 미래의 발전에 관해 보자면, 모든 생명체는 여섯 단계의 변화를 거친다. 태어나고, 자라고, 당분간 유지하고, 번식하고, 늙고, 마침내 사라진다. 이 변화 중에서 그 첫째가 자궁에서 나오는 것이고, 이것이 바로 끄리쉬나다. 첫 발생이 미래 모든 행위의 시작이다.

The seven opulences listed – fame, fortune, fine speech, memory, intelligence, steadfastness and patience – are considered feminine. If a person possesses all of them or some of them he becomes glorious. If a man is famous as a righteous man, that makes him glorious. Sanskrit is a perfect language and is therefore very glorious. If after studying one can remember a subject matter, he is gifted with a good memory, or smṛti. And the ability not only to read many books on different subject matters but to understand them and apply them when necessary is intelligence (medhā), another opulence. The ability to overcome unsteadiness is called firmness or steadfastness (dhṛti). And when one is fully qualified yet is humble and gentle, and when one is able to keep his balance both in sorrow and in the ecstasy of joy, he has the opulence called patience (kṣamā).

여기에서 언급된 일곱 가지의 풍요로움, 즉 명성, 재산, 품위 있는 말투, 기억, 지성, 확고함 그리고 인내심은 여성으로 여겨진다. 이 자질을 전부 또는 일부 가지고 있다면 영예롭다. 만약 누군가가 정의로운 사람으로 유명해지면, 바로 그 자질이 그 사람을 영광스럽게 한다. 산스끄리뜨어는 완벽한 언어이므로 매우 영예로운 언어이다. 공부하고 난 다음 우리가 그 주제를 기억한다면 좋은 기억, 즉 스므리띠를 부여받은 것이다. 그리고 여러 주제에 관한 많은 책을 읽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이해하고 필요에 맞게 적용하는 능력을 지성(메다 medhā), 즉 또 다른 형태의 풍요라고 한다. 꾸준하지 못함을 극복하는 능력을 단호함 또는 확고함(드리띠 dhṛti)이라고 한다. 그리고 우리가 여러 자질을 갖추었지만 겸손하고 상냥하게, 기쁨과 슬픔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면, 인내(끄샤마 kṣamā)라고 하는 풍요로움을 갖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