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hapter 1

제1장

We Are Not These Bodies

 우리는 이 몸이 아니다.

dehī nityam avadhyo ’yaṁ
dehe sarvasya bhārata
tasmāt sarvāṇi bhūtāni
na tvaṁ śocitum arhasi
데히 니땸 아바됴' 얌 dehī nityam avadhyo 'yaṁ
데헤 사르바샤 바라따 dehe sarvasya bhārata
따스맛 사르바니 부따니 tasmāt sarvāṇi bhūtāni
나 뜨밤 쇼찌뚬 아르하시 na tvaṁ śocitum arhasi

“O descendant of Bharata, he who dwells in the body is eternal and can never be slain. Therefore you need not grieve for any creature.” (Gītā 2.30)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육체 안에 거주하고 있는 영혼은 절대 살해될 수 없기에 어떤 생명체를 두고도 한탄할 필요가 없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2.30》

The very first step in self-realization is realizing one’s identity as separate from the body. “I am not this body but am spirit soul” is an essential realization for anyone who wants to transcend death and enter into the spiritual world beyond. It is not simply a matter of saying “I am not this body,” but of actually realizing it. This is not as simple as it may seem at first. Although we are not these bodies but are pure consciousness, somehow or other we have become encased within the bodily dress. If we actually want the happiness and independence that transcend death, we have to establish ourselves and remain in our constitutional position as pure consciousness.

깨달음에 있어 가장 최초의 단계는 자신을 자기 몸과 떼어내 인식하는 것이다. “나는 이 몸이 아니라 이 영혼이다.” 이런 인식은 죽음을 초월하여 영적 세계에 들어가고자 하는 자 누구에게나 필요한 절차이다. “나는 이 몸이 아니다.” 이렇게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실제로 깨달아야 한다. 처음에는 이렇게 깨닫기가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사실 우리는 이 육신이 아니라 순수한 의식이지만 어떤 연유로 육신이라는 옷에 갇히게 되었다. 죽음을 초월하는 행복과 자유를 얻으려면 자신을 재정립하고 본질적 위치인 순수한 의식으로 남아야 한다.

Living in the bodily conception, our idea of happiness is like that of a man in delirium. Some philosophers claim that this delirious condition of bodily identification should be cured by abstaining from all action. Because these material activities have been a source of distress for us, they claim that we should actually stop these activities. Their culmination of perfection is in a kind of Buddhistic nirvāṇa, in which no activities are performed. Buddha maintained that due to a combination of material elements, this body has come into existence, and that somehow or other if these material elements are separated or dismantled, the cause of suffering is removed. If the tax collectors give us too much difficulty because we happen to possess a large house, one simple solution is to destroy the house. However, the Bhagavad-gītā indicates that this material body is not all in all. Beyond this combination of material elements, there is spirit, and the symptom of that spirit is consciousness.

육신에 얽매인 생각으로 사는 삶에서 행복이라는 개념은 정신 착란 증세와 같다. 어떤 철학자들은 이런 정신착란과도 같은 육체적 정체성이 모든 행위를 끊음으로써 치유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런 물질적 행위가 고뇌의 원인이므로 모든 행위를 멈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깨달음의 최고 경지는 아무런 행위도 없는 상태인 불교적 해탈(nirvana)과 같은 것이다. 불교적 관점에서는 물질의 조합으로 육신이 존재에 이르렀고 어떤 식으로 이 물질 성분이 분리되거나 제거되면 고통의 원인이 사라진다고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너무 큰 집을 소유하고 있어 국세청 직원이 과도한 세금을 부과해 괴로우면 그 집을 없애버리면 그만이다. 그러나 바가바드 기따(Bhagavad-gītā)는 이 물질적 육신이 전부가 아니라고 설명한다. 이 물질의 조합을 넘어서 영혼이 있고 이 영혼은 의식을 통해 증명된다.

Consciousness cannot be denied. A body without consciousness is a dead body. As soon as consciousness is removed from the body, the mouth will not speak, the eye will not see, nor the ears hear. A child can understand that. It is a fact that consciousness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animation of the body. What is this consciousness? Just as heat or smoke are symptoms of fire, so consciousness is the symptom of the soul. The energy of the soul, or self, is produced in the shape of consciousness. Indeed, consciousness proves that the soul is present. This is not only the philosophy of the Bhagavad-gītā but the conclusion of all Vedic literature.

의식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의식이 없는 육신은 시체이다. 의식이 몸에서 사라지자마자 입은 말을 하지 못하고 눈은 보지를 못하며 귀는 듣지 못한다. 아이들도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이다. 이는 육신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의식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나타내는 증거이다. 그렇다면 의식이란 무엇인가? 열이나 연기가 불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처럼 의식은 영혼의 증거이다. 영혼 혹은 자아를 움직이는 동력이 의식이라는 형태로 발생하는 것이다. 의식은 영혼의 존재를 증명한다.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의 철학만이 아니라 베다 문학(Vedic literature) 전체의 결론이다.

The impersonalist followers of Śaṅkarācārya, as well as the Vaiṣṇavas following in the disciplic succession from Lord Śrī Kṛṣṇa, acknowledge the factual existence of the soul, but the Buddhist philosophers do not. The Buddhists contend that at a certain stage the combination of matter produces consciousness, but this argument is refuted by the fact that although we may have all the constituents of matter at our disposal, we cannot produce consciousness from them. All the material elements may be present in a dead man, but we cannot revive that man to consciousness. This body is not like a machine. When a part of a machine breaks down, it can be replaced, and the machine will work again, but when the body breaks down and consciousness leaves the body, there is no possibility of our replacing the broken part and rejuvenating the consciousness. The soul is different from the body, and as long as the soul is there, the body is animate. But there is no possibility of making the body animate in the absence of the soul.

샹까라짜리아(Śaṅkarācārya) 같은 비인성주의자들이나 절대신 스리 끄리쉬나(Śrī Kṛṣṇa)의 가르침을 전승해 온 바이쉬나바(Vaiṣṇava) 모두 영혼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인정하지만 불교학자들은 이를 부인한다. 불교도들은 어떤 시점에 물질 조합이 의식을 발생시킨다고 주장하지만 우리 앞에 이런 물질 구성요소가 마음껏 있어도 의식을 만들어낼 수는 없다는 이의가 제기된다. 죽은 사람에게도 이 모든 구성요소가 있지만 그 사람에게 의식을 불어넣을 수 없다. 육신은 기계와 다르다. 기계의 한 부분이 고장 나면 그 부분을 대체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지만 몸이 망가지고 의식이 몸을 떠나면 그 망가진 부분을 대체하거나 의식을 살아나게 할 방법은 없다. 영혼은 육신과 다르고 영혼이 있는 한 육신은 살아있다. 그러나 영혼 없이 육신을 살아있게 하는 방법은 절대 없다.

Because we cannot perceive the soul by our gross senses, we deny it. Actually there are so many things that are there which we cannot see. We cannot see air, radio waves, or sound, nor can we perceive minute bacteria with our blunt senses, but this does not mean they are not there. By the aid of the microscope and other instruments, many things can be perceived which had previously been denied by the imperfect senses. Just because the soul, which is atomic in size, has not been perceived yet by senses or instruments, we should not conclude that it is not there. It can, however, be perceived by its symptoms and effects.

우리가 불완전한 감각을 가졌기 때문에 영혼을 인지할 수 없어 그 존재를 부인한다. 사실 이 세상에는 우리가 볼 수 없는 많은 것이 존재한다. 공기, 라디오 주파수, 소리, 미세한 박테리아까지도 우리의 무딘 감각으로는 볼 수 없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현미경이나 그 외 다른 도구의 도움으로 불완전한 감각 탓에 예전에는 부정했던 많은 것들을 이제는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원소 크기의 영혼이라서, 우리의 감각이나 다른 도구들로 인지될 수 없다고 해서 영혼이 없다고 결론지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영혼도 그 징후와 영향으로 인지할 수 있다.

In the Bhagavad-gītā Śrī Kṛṣṇa points out that all of our miseries are due to false identification with the body.

바가바드 기따에서 스리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시기를 모든 불행과 고통은 육신에 얽매인 거짓 정체성 때문이라 지적하신다.

mātrā-sparśās tu kaunteya
śītoṣṇa-sukha-duḥkha-dāḥ
āgamāpāyino ’nityās
tāṁs titikṣasva bhārata
마뜨라-스빠르샤스 뚜 꼬운떼야 mātrā-sparśās tu kaunteya
    시또쉬나-수카-두카-다하 śītoṣṇa-sukha-duḥkha-dāḥ
   아가마빠이노 '니땨스 āgamāpāyino 'nityās
 땀스 띠띡샤스바 바라따 tāṁs titikṣasva bhārata

“O son of Kuntī, the nonpermanent appearance of heat and cold, happiness and distress, and their disappearance in due course, are like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winter and summer seasons. They arise from sense perception, O scion of Bharata, and one must learn to tolerate them without being disturbed.” (Gītā 2.14)

“오 꾼띠의 아들이여, 영원하지 않은 행복과 불행의 교차는 여름과 겨울의 계절이 바뀌는 것과 같다.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이 행복과 불행은 감각적 인식에서 생기므로 그에 좌우되지 말고 참는 법을 배우거라.” 《바가바드 기따 2.14》

In the summertime we may feel pleasure from contact with water, but in the winter we may shun that very water because it is too cold. In either case, the water is the same, but we perceive it as pleasant or painful due to its contact with the body.

여름에 물을 만지면 시원해서 만족스럽겠지만 똑같은 물을 겨울에는 너무 차서 손도 대고 싶지 않을 것이다. 두 경우 모두 같은 물이지만 우리 몸과 접촉함으로써 즐거움과 고통으로 달리 느낀다.

All feelings of distress and happiness are due to the body.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body and mind feel happiness and distress. Factually we are hankering after happiness, for the soul’s constitutional position is that of happiness. The soul is part and parcel of the Supreme Being, who is sac-cid-ānanda-vigrahaḥ – the embodiment of knowledge, bliss, and eternity. Indeed, the very name Kṛṣṇa, which is nonsectarian, means “the greatest pleasure.” Kṛṣ means “greatest” and ṇa means “pleasure.” Kṛṣṇa is the epitome of pleasure, and being part and parcel of Him, we hanker for pleasure. A drop of ocean water has all the properties of the ocean itself, and we, although minute particles of the Supreme Whole, have the same energetic properties as the Supreme.

고통과 행복 같은 모든 감정은 육신 때문에 생겨난다. 어떤 특정한 상태에서 몸과 마음은 행복과 고통을 느낀다. 영혼의 본질적 위치는 행복이기에 실제로 우리는 행복을 갈망한다. 영혼은 지식과 행복으로 가득 찬 영원한 삿-칫-아난다-비그라하(sac-cid-ānanda-vigrahaḥ), 즉 절대 존재의 부분이다(브라흐마 삼히따 5.1). 사실 끄리쉬나라는 이름은 어느 종파에도 무관한 이름으로 최상의 즐거움을 의미한다. 끄리쉬(Kṛṣ)는 최고를, 나(ṇa)는 즐거움을 뜻한다. 끄리쉬나는 즐거움의 전형이고 우리는 당신의 부분이므로 즐거움을 갈망한다. 대양(大洋)에서 나온 물 한 방울도 대양이 가진 특성이 있기에 우리 역시 절대신의 아주 작은 부분이라 하더라도 그와 같은 강력한 특성을 지닌다.

The atomic soul, although so small, is moving the entire body to act in so many wonderful ways. In the world we see so many cities, highways, bridges, great buildings, monuments, and great civilizations, but who has done all this? It is all done by the minute spirit spark within the body. If such wonderful things can be performed by the minute spirit spark, we cannot begin to imagine what can be accomplished by the Supreme Spirit Whole. The natural hankering of the minute spirit spark is for the qualities of the whole – knowledge, bliss, and eternality – but these hankerings are being frustrated due to the material body. The information on how to attain the soul’s desire is given in the Bhagavad-gītā.

원소 크기의 영혼은 그 크기가 아무리 작아도 온몸을 떠돌며 엄청난 일을 한다. 이 세상에는 많은 도시가 있고 도로, 다리, 거대한 빌딩과 유적, 그리고 위대한 문명이 있다. 이 모든 것들을 누가 했는가? 이는 모두 육신에 내재한 미세한 영혼의 불꽃이 이루어 낸 결과이다. 이런 위대한 업적들이 작은 영혼의 불꽃이 이룬 것이라면 지고한 영혼 전체(Supreme Spirit Whole)가 이루어낼 업적은 상상조차 할 수 없을 정도일 것이다. 작은 영혼들은 지고한 영혼이 가진 자질 즉 지식, 행복, 영원을 자연히 갈망하지만 이런 욕망은 물질적인 육신 때문에 좌절되고 만다. 바가바드 기따는 어떻게 영혼의 욕망을 성취할 수 있는지에 관한 지식을 제공한다.

At present we are trying to attain eternity, bliss, and knowledge by means of an imperfect instrument. Actually, our progress toward these goals is being blocked by the material body; therefore we have to come to the realization of our existence beyond the body. Theoretical knowledge that we are not these bodies will not do. We have to keep ourselves always separate as masters of the body, not as servants. If we know how to drive a car well, it will give us good service; but if we do not know how, we will be in danger.

현재 우리는 불완전한 도구를 통해 영원과 행복, 지식을 얻으려 애쓰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런 목표를 향한 전진은 육신 때문에 중단된다. 따라서 육신을 넘어선 존재에 대한 깨달음에 이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이 몸이 아니라는 이론상의 지식이 깨달음을 주지 않으므로 항상 우리 자신을 몸의 종이 아닌 주인으로 단련시킬 필요가 있다. 차를 잘 운전할 수 있다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큰 위험에 처하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The body is composed of senses, and the senses are always hungry after their objects. The eyes see a beautiful person and tell us, “Oh, there is a beautiful girl, a beautiful boy. Let’s go see.” The ears are telling us, “Oh, there is very nice music. Let us go hear it.” The tongue is saying, “Oh, there is a very nice restaurant with palatable dishes. Let us go.” In this way the senses are dragging us from one place to another, and because of this we are perplexed.

육신은 감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감각들은 항상 대상에 굶주려 있다. 눈은 아름다운 것을 보며 말한다. “저기 예쁜 여자가 있다, 저기 멋진 남자가 있다. 가서 보자.” 그리고 귀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저기 아주 감미로운 음악이 있네, 가서 들어보자.” 혀는 이렇게 말한다. “저 레스토랑에 맛있는 음식이 있으니 가서 먹어 보자.” 이렇게 감각들이 여기저기 우리를 끌고 다녀 당황하게 한다.

indriyāṇāṁ hi caratāṁ
yan mano ’nuvidhīyate
tad asya harati prajñāṁ
vāyur nāvam ivāmbhasi
인드리야남 히 짜라땀 indriyāṇāṁ hi caratāṁ
얀 마노 '누비디야떼 yan mano 'nuvidhīyate
딷 아샤 하라띠 쁘라걈 tad asya harati prajñāṁ
    바유르 나밤 이밤바시 vāyur nāvam ivāmbhasi

“As a boat on the water is swept away by a strong wind, even one of the senses on which the mind focuses can carry away a man’s intelligence.” (Gītā 2.67)

“강한 바람으로 물에 떠 있는 배가 흔들리듯 배회하는 감각 중 단 하나에도 마음을 뺏기면 우리의 지혜는 멀리 사라진다.” 《바가바드 기따 2.67》

It is imperative that we learn how to control the senses. The name gosvāmī is given to someone who has learned how to master the senses. Go means “senses,” and svāmī means “controller”; so one who can control the senses is to be considered a gosvāmī. Kṛṣṇa indicates that one who identifies with the illusory material body cannot establish himself in his proper identity as spirit soul. Bodily pleasure is flickering and intoxicating, and we cannot actually enjoy it, because of its momentary nature. Actual pleasure is of the soul, not the body. We have to mold our lives in such a way that we will not be diverted by bodily pleasure. If somehow we are diverted,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establish our consciousness in its true identity beyond the body.

감각을 통제하는 법을 반드시 배워야 한다. 고스와미(gosvāmī)는 감각을 통제하는 법을 터득한 사람에게 붙여주는 호칭이다. 고(Go)는 감각을, 스와미(svāmī)는 통제자를 뜻하므로 감각을 통제한 사람을 고스와미로 여긴다.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시기를 실체 없는 물질적 육신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자는 영적 존재라는 올바른 자아를 확립할 수 없다고 하셨다. 육체적 즐거움은 일시적인 본성 탓에 불안정하고 정신을 혼미하게 해서 실제로 즐길 수 없다. 진정한 즐거움은 영혼을 통해서 느끼는 것이지 육신으로 느끼는 것이 아니다. 삶의 방향을 바로 잡아 우리가 육체적인 즐거움을 향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 의식이 육체적인 즐거움을 향하게 되면 육신을 넘어선 참된 자아로 되돌리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bhogaiśvarya-prasaktānāṁ
tayāpahṛta-cetasām
vyavasāyātmikā buddhiḥ
samādhau na vidhīyate
보가이스바랴-쁘라삭따남 bhogaiśvarya-prasaktānāṁ
따야빠흐리따-쩨따삼 tayāpahṛta-cetasām
뱌바사야뜨미까 붇디히 vyavasāyātmikā buddhiḥ
사마다우 나 비댜떼 samādhau na vidhīyate
traiguṇya-viṣayā vedā
nistraiguṇyo bhavārjuna
nirdvandvo nitya-sattva-stho
niryoga-kṣema ātmavān
뜨라이군야-비샤야 베다 traiguṇya-viṣayā vedā
니스뜨라이군요 바바르주나 nistraiguṇyo bhavārjuna
니르드반드보 니땨-삿뜨바-스토 nirdvandvo nitya-sattva-stho
니르요가-끄쉐마 아뜨마반 niryoga-kṣema ātmavān

“In the minds of those who are too attached to sense enjoyment and material opulence, and who are bewildered by such things, the resolute determination for devotional service to the Supreme Lord does not take place. The Vedas deal with the subject of the three modes of material nature. Rise above these modes, O Arjuna. Be transcendental to all of them. Be free from all dualities and from all anxieties for gain and safety, and be established in the Self.” (Gītā 2.44–45)

“감각만족과 물질적 부에 지나치게 얽매여 혼란해진 자의 마음에는 지고한 주를 향한 봉헌의 굳은 결심이 서지 않느니라. 베다는 물질적 본성의 세 가지 양태에 관한 문제를 주로 다룬다. 오 아르주나, 이 세 본성을 초월하거라. 모든 이중성과 이해득실, 무사안전을 위한 근심에서 벗어나 자아를 바로 세워라.” 《바가바드 기따 2.44~45》

The word veda means “book of knowledge.” There are many books of knowledge, which vary according to the country, population, environment, etc. In India the books of knowledge are referred to as the Vedas. In the West they are called the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The Muhammadans accept the Koran. What is the purpose for all these books of knowledge? They are to train us to understand our position as pure soul. Their purpose is to restrict bodily activities by certain rules and regulations, and these rules and regulations are known as codes of morality. The Bible, for instance, has ten commandments intended to regulate our lives. The body must be controlled in order for us to reach the highest perfection, and without regulative principles, it is not possible to perfect our lives. The regulative principles may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or from scripture to scripture, but that doesn’t matter, for they are made according to the time and circumstances and the mentality of the people. But the principle of regulated control is the same. Similarly, the government sets down certain regulations to be obeyed by its citizens. There is no possibility of making advancement in government or civilization without some regulations. In the previous verse, Śrī Kṛṣṇa tells Arjuna that the regulative principles of the Vedas are meant to control the three modes of material nature – goodness, passion, and ignorance (traiguṇya-viṣayā vedāḥ). However, Kṛṣṇa is advising Arjuna to establish himself in his pure constitutional position as spirit soul, beyond the dualities of material nature.

베다(veda)라는 단어는 “지식의 책”이란 뜻이다. 이 세상에는 수많은 지식 서적이 있고 이는 나라, 인종,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다. 인도에서는 지식을 다루는 책을 베다라고 부른다. 서양에서는 구약 혹은 신약이라 일컫고 이슬람교도들은 코란이라 부른다. 이런 지식 서적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가? 우리의 참된 위치가 순수한 영혼이라는 점을 이해시키기 위한 훈련이 그 목적이다. 특정 규율과 법으로 육체적 행위들을 통제하기 위함이고 이 규율들은 도덕 규정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성서는 십계명으로 우리 삶을 규제하려 한다. 가장 높은 완성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반드시 육체를 통제해야 하고 이런 규정 원칙 없이 삶을 완성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규율은 나라에 따라, 경전에 따라 다르고 시간과 상황, 사람들의 의식 상태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졌지만 규정된 원칙들은 다 똑같아서 큰 차이가 없다. 마찬가지로 국가는 국민을 다스리기 위해 법령을 제정한다. 규정 없이 진보와 문명은 불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절에서 끄리쉬나는 아르주나에게 베다의 규정 원칙은 물질적 본성의 세 가지 양태, 즉 선성(善性), 동성(動性), 암성(暗性)(뜨라이군야-비샤야 베다하)을 통제하기 위함이라 하셨다. 끄리쉬나는 아르주나에게 물질적 이중성을 초월한 본질적 위치, 영혼으로서의 자아를 확립하라고 이르신다.

As we have already pointed out, these dualities – such as heat and cold, pleasure and pain – arise due to the contact of the senses with their objects. In other words, they are born of identification with the body. Kṛṣṇa indicates that those who are devoted to enjoyment and power are carried away by the words of the Vedas, which promise heavenly enjoyment by sacrifice and regulated activity. Enjoyment is our birthright, for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spirit soul, but the spirit soul tries to enjoy materially, and this is the mistake.

앞서 지적했듯이 열과 냉기, 즐거움과 고통 같은 이런 이중성은 대상과 감각이 접촉함으로써 생겨난다. 다른 말로 하면 감각은 자신을 육신과 동일시하자마자 생겨난 결과물이다. 끄리쉬나께서는 쾌락과 권력에 눈먼 자들도 제식과 규제된 행위를 통해 천상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음을 약속하는 베다 지식을 알게 되면 압도될 것이라 하셨다. 즐거움은 우리의 타고난 권리로, 영혼의 특성이지만 영혼이 물질적으로 즐기려 하기에 잘못되었다.

Everyone is turning to material subjects for enjoyment and is compiling as much knowledge as possible. Someone is becoming a chemist, physicist, politician, artist, or whatever. Everyone knows something of everything or everything of something, and this is generally known as knowledge. But as soon as we leave the body, all of this knowledge is vanquished. In a previous life one may have been a great man of knowledge, but in this life he has to start again by going to school and learning how to read and write from the beginning. Whatever knowledge was acquired in the previous life is forgotten. The situation is that we are actually seeking eternal knowledge, but this cannot be acquired by this material body. We are all seeking enjoyment through these bodies, but bodily enjoyment is not our actual enjoyment. It is artificial. We have to understand that if we want to continue in this artificial enjoyment, we will not be able to attain our position of eternal enjoyment.

모두가 즐기려고 물질적 대상을 찾고 있고 가능한 한 최대의 지식을 쌓으려 애쓴다. 어떤 이는 화학자, 물리학자, 정치인, 예술가 또는 다른 무엇이 되고 있다. 모두가 전체 중 일부를 알고 혹은 일부 중 전체를 알며 이것을 일반적으로 지식이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이 몸을 떠나자마자 이 모든 지식은 사라진다. 전생에 위대한 지식의 소유자였어도 현생에서 학교에 가 쓰고 읽는 법을 배우는 것부터 시작해 다시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해야 한다. 전생에 습득한 어떤 지식이든 완전히 잊게 된다. 실제로 우리는 소멸하지 않는 영원한 지식을 구하고 있지만 이 물질적 육신 때문에 그것을 얻을 수 없게 되었다. 모든 사람이 몸을 통해 즐거움을 추구하고 있지만 육체적 쾌락은 진정한 즐거움이 아니다. 인위적이다. 만일 이런 인위적인 즐거움을 계속 누리고자 하면 영원한 즐거움을 누리는 우리 본질적 위치를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The body must be considered a diseased condition. A diseased man cannot enjoy himself properly; a man with jaundice, for instance, will taste sugar candy as bitter, but a healthy man can taste its sweetness. In either case, the sugar candy is the same, but according to our condition it tastes different. Unless we are cured of this diseased conception of bodily life, we cannot taste the sweetness of spiritual life. Indeed, it will taste bitter to us. At the same time, by increasing our enjoyment of material life, we are further complicating our diseased condition. A typhoid patient cannot eat solid food, and if someone gives it to him to enjoy, and he eats it, he is further complicating his malady and is endangering his life. If we really want freedom from the miseries of material existence, we must minimize our bodily demands and pleasures.

육체를 병에 걸린 상태로 여겨야 한다. 환자는 올바로 즐길 수가 없다. 예를 들어 황달에 걸린 사람은 사탕을 쓰다고 느끼겠지만 건강한 상태의 사람이라면 달콤한 맛을 즐길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똑같은 사탕이지만 우리의 상태에 따라 다른 맛을 느낀다. 삶을 육체로 인식하는 이 병든 의식을 치유하지 않고서는 영적 세계의 달콤함을 맛볼 수 없다. 오히려 쓰다고 느낄 것이다. 동시에 물질적 삶에 대한 즐거움을 늘릴수록 병든 상태는 더욱 악화된다. 장티푸스 환자가 고체음식을 먹지 못하는데도 누군가에게 받아먹으면 병이 더욱 악화하고 목숨이 위험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 진정으로 물질적 존재의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육체적 요구와 즐거움을 최소화해야 한다.

Actually, material enjoyment is not enjoyment at all. Real enjoyment does not cease. In the Mahābhārata there is a verse – ramante yogino ’nante – to the effect that the yogīs (yogino), those who are endeavoring to elevate themselves to the spiritual platform, are actually enjoying (ramante), but their enjoyment is anante, endless. This is because their enjoyment is in relation to the supreme enjoyer (Rāma), Śrī Kṛṣṇa. Bhagavān Śrī Kṛṣṇa is the real enjoyer, and the Bhagavad-gītā (5.29) confirms this:

실제로 물질적 즐거움은 결코 진정한 즐거움이 아니다. 진정한 즐거움은 멈추지 않는다. 마하바라따(Mahābhārata)에 이런 구절이 있다. 라만떼 요기노 난떼(ramante yogino 'nante). 영적 단계에 이르려고 노력하는 요가행자(요기노)들은 진정으로 즐기고 있고(라만떼), 이 즐거움은 끝이 없다(아난떼). 그들이 느끼는 즐거움은 지고한 향유자(Rāma), 스리 끄리쉬나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바가반 스리 끄리쉬나(Bhagavān Śrī Kṛṣṇa)가 진정한 향유자라고 바가바드 기따 5.29는 확언한다.

bhoktāraṁ yajña-tapasāṁ
sarva-loka-maheśvaram
suhṛdaṁ sarva-bhūtānāṁ
jñātvā māṁ śāntim ṛcchati
복따람 야갸-따빠삼 bhoktāraṁ yajña-tapasāṁ
사르바-로까-마헤스바람 sarva-loka-maheśvaram
수흐리담 사르바-부따남 suhṛdaṁ sarva-bhūtānāṁ
갸뜨바 맘 산띰 릿차띠 jñātvā māṁ śāntim ṛcchati

“The sages, knowing Me as the ultimate enjoyer of all sacrifices and austerities, the Supreme Lord of all planets and demigods, and the benefactor and well-wisher of all living entities, attain peace from the pangs of material miseries.”

“모든 제식과 고행은 궁극적으로 나를 위한 것이며 내가 모든 행성과 데바들의 가장 높은 주인이며 뭇 생명체에게 자비와 은총을 베푸는 것임을 깨달아 항상 나를 생각하는 현자들은 물질적 고통에서 벗어나 평화를 얻느니라.”

Bhoga means “enjoyment,” and our enjoyment comes from understanding our position as the enjoyed. The real enjoyer is the Supreme Lord, and we are enjoyed by Him.

보가(Bhoga)는 즐거움을 의미하고 우리가 즐거움의 향유자가 아니라 대상이라는 것을 이해할 때 비로소 즐거울 수 있다. 진정으로 즐기는 주체는 절대신이고 우리는 당신이 즐거워하는 대상, 생명체이다.

An example of this relationship can be found in the material world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the husband is the enjoyer (puruṣa), and the wife is the enjoyed (prakṛti). The word pri means “woman.” Puruṣa, or spirit, is the subject, and prakṛti, or nature, is the object. The enjoyment, however, is participated in both by the husband and the wife. When actual enjoyment is there, there is no distinction that the husband is enjoying more or the wife is enjoying less. Although the male is the predominator and the female is the predominated, there is no division when it comes to enjoyment. On a larger scale, no living entity is the enjoyer.

물질계에서 이런 관계는 남편과 아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남편은 즐기는 자(쁘루샤, puruṣa)이고 아내는 즐겨지는 자(쁘라끄리띠, prakṛti)이다. ‘Pri’라는 단어는 ‘여성’을 뜻한다. ‘뿌루샤’는 영혼, 즉 주체이고 '쁘라끄리띠'는 자연, 곧 대상이다. 그러나 즐거움은 남편과 아내 둘 다 함께 느낀다. 진정으로 즐거울 때 남편이 더 즐겁고 아내가 덜 즐겁다는 식의 구별은 없다. 비록 남편이 우세하고 아내가 덜 우세하다고 해도 즐거움의 경지에 이를 때는 그 우열을 생각지 않는다. 더 큰 의미에서 생각해 보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어떤 생명체도 향유자가 아니다.

God expanded into many, and we constitute those expansions. God is one without a second, but He willed to become many in order to enjoy. We have experience that there is little or no enjoyment in sitting alone in a room talking to oneself. However, if there are five people present, our enjoyment is enhanced, and if we can discuss Kṛṣṇa before many, many people, the enjoyment is all the greater. Enjoyment means variety. God became many for His enjoyment, and thus our position is that of the enjoyed. That is our constitutional position and the purpose for our creation. Both enjoyer and enjoyed have consciousness, but the consciousness of the enjoyed is subordinate to the consciousness of the enjoyer. Although Kṛṣṇa is the enjoyer and we the enjoyed, the enjoyment can be participated in equally by everyone. Our enjoyment can be perfected when we participate in the enjoyment of God. There is no possibility of our enjoying separately on the bodily platform. Material enjoyment on the gross bodily platform is discouraged throughout the Bhagavad-gītā.

절대신은 당신 자신을 수많은 형태로 확장하시고 우리는 그런 확장의 일부이다. 절대자는 두말할 나위 없이 오직 한 분이시지만 즐기고자 기꺼이 여러 모습을 하신다. 대화 나눌 사람 없이 빈방에 혼자 앉아 있을 때 전혀 즐겁지 않다는 것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다섯 명 정도가 있으면 즐거움은 배가 되고 더 많은 사람 앞에서 끄리쉬나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그 즐거움은 더욱 커진다. 즐거움은 다양성을 의미한다. 절대신은 당신의 즐거움을 위해 여럿이 되시고 우리의 위치는 그 즐거움의 대상이다. 그것이 우리의 본질적 위치로, 인류 창조의 목적이다. 즐기는 자와 즐거움의 대상 둘 다 의식이 있지만 즐거움의 대상이 지닌 의식은 즐기는 자의 의식에 종속된다. 비록 끄리쉬나가 향유자이고 우리는 그 대상이지만 모두 다 똑같이 즐거울 수 있다. 우리가 절대신의 즐거움에 관여할 때 완벽히 즐거울 수 있다. 육체적 개념의 즐거움으로는 절대 진정한 즐거움을 느낄 수 없다. 바가바드 기따는 오직 육신에 기반을 두는 물질적 즐거움을 멈춰야 한다고 전반에 걸쳐 권고한다.

mātrā-sparśās tu kaunteya
śītoṣṇa-sukha-duḥkha-dāḥ
āgamāpāyino ’nityās
tāṁs titikṣasva bhārata
마뜨라-스빠르샤스 뚜 까운떼야 mātrā-sparśās tu kaunteya
시또쉬나-수카-두카-다하 śītoṣṇa-sukha-duḥkha-dāḥ
아가마빠이노 '니땨스 āgamāpāyino 'nityās
땀스 띠띡샤스바 바라따 tāṁs titikṣasva bhārata

“O son of Kuntī, the nonpermanent appearance of heat and cold, happiness and distress, and their disappearance in due course, are like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winter and summer seasons. They arise from sense perception, O scion of Bharata, and one must learn to tolerate them without being disturbed.” (Gītā 2.14)

“오 꾼띠의 아들이여, 영속성 없는 행복과 불행의 교차는 여름과 겨울의 계절이 바뀌는 것과 같다.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이 행복과 불행은 감각적 인식에서 생기므로 그에 좌우되지 말고 참는 법을 배우거라.” 《바가바드 기따 2.14》

The gross material body i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the modes of material nature, and it is doomed to destruction.

물질로 구성된 총체 육신(gross body)은 물질적 본성들과 교류한 결과물이고 소멸하는 운명에 처해 있다.

antavanta ime dehā
nityasyoktāḥ śarīriṇaḥ
anāśino ’prameyasya
tasmād yudhyasva bhārata
안따반따 이메 데하 antavanta ime dehā
니땨쇽따하 샤리리나하 nityasyoktāḥ śarīriṇaḥ
아나시노 '쁘라메야샤 anāśino 'prameyasya
따스맏 육댜스바 바라따 tasmād yudhyasva bhārata

“Only the material body of the indestructible, immeasurable, and eternal living entity is subject to destruction; therefore, fight, O descendant of Bharata.” (Gītā 2.18)

“파괴될 수 없으며 측정 불가능하며 영원히 존재하는 생명체가 갇힌 물질적 육신은 반드시 소멸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일어나 싸워라.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바가바드 기따 2.18》

Śrī Kṛṣṇa therefore encourages us to transcend the bodily conception of existence and attain to our actual spiritual life.

그러므로 스리 끄리쉬나는 육체적 인식으로서의 존재를 초월해 진정한 영적 삶을 구하라고 격려하신다.

guṇān etān atītya trīn
dehī deha-samudbhavān
janma-mṛtyu jarā-duḥkhair
vimukto ’mṛtam aśnute
구난 에딴 아띠땨 뜨린 guṇān etān atītya trīn
데히 데하-사묻바반 dehī deha-samudbhavān
잔마-므리뜌 자라-두카이르 janma-mṛtyu jarā-duḥkhair
비묵또 '므리땀 아스누떼 vimukto 'mṛtam aśnute

“When the embodied being is able to transcend these three modes [goodness, passion, and ignorance], he can become free from birth, death, old age, and their distresses and can enjoy nectar even in this life.” (Gītā 14.20)

“육신에 갇힌 생명체가 육신과 동반되는 이 세 가지 물질적 본성을 초월할 수 있을 때 그는 삶과 죽음, 늙음, 그리고 여러 고통에서 벗어나 심지어 이생에서도 감로를 즐길 수 있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14.20》

To establish ourselves on the pure brahma-bhūta spiritual platform, above the three modes, we must take up the method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The gift of Caitanya Mahāprabhu, the chanting of the names of Kṛṣṇa –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 facilitates this process. This method is called bhakti-yoga or mantra-yoga, and it is employed by the highest transcendentalists. How the transcendentalists realize their identity beyond birth and death, beyond the material body, and transfer themselves from the material universe to the spiritual universes are the subjects of the following chapters.

세 가지 본성을 초월한 순수한 브라흐마-부따(brahma-bhūta) 경지로 들어서기 위해서는 반드시 끄리쉬나 의식 방법을 시작해야 한다(스리마드 바가바땀 4.30.20). 짜이따냐 마하쁘라부(Caitanya Mahāprabhu)께서 우리에게 주신 선물인 끄리쉬나의 이름 구송, 즉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가 이 과정을 촉진한다. 이 방법을 박띠 요가(bhakti-yoga) 혹은 만뜨라 요가(mantra-yoga)라고 하며 최상의 초월주의자들이 실행한다. 초월주의자들이 어떻게 생사를 초월해 자아를 인식하고 물질적 육신에서 벗어나며 어떻게 물질적 우주에서 영적 우주로 옮겨가는지가 다음 장들의 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