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19

제19절

Tekst

원문

iti kṣetraṁ tathā jñānaṁ
jñeyaṁ coktaṁ samāsataḥ
mad-bhakta etad vijñāya
mad-bhāvāyopapadyate
이띠 끄쉐뜨람 따타 갸남 iti kṣetraṁ tathā jñānaṁ
계얌 쪽땀 사마사따하 jñeyaṁ coktaṁ samāsataḥ
맏-박따 에딷 비갸야 mad-bhakta etad vijñāya
맏-바바요빠빠댜떼 mad-bhāvāyopapadyate

Synonyms

동의어

iti — således; kṣetram — handlingsfeltet (kroppen); tathā — også; jñānam — viden; jñeyam — det, der kan vides; ca — også; uktam — beskrevet; samāsataḥ — i korthed; mat-bhaktaḥ — Min hengivne; etat — alt dette; vijñāya — efter at have forstået; mat-bhāvāya — Min natur; upapadyate — han opnår.

이띠: 그러므로, 끄쉐뜨람: 행위의 장(육신), 따타: 또한, 갸남: 지식, 계얌: 알 수 있는 것, 짜: 또한, 욱땀: 묘사하는, 사마사따하: 요약해서, 맛-박따하: 나의 헌애자, 에땃: 이 모든 것, 비갸야: 이해 아래, 맛-바바야: 나의 본성으로, 우빠빠댜떼: 달성하다.

Translation

번역

Jeg har således givet en kortfattet beskrivelse af handlingsfeltet [kroppen], viden og det, der kan vides. Kun Mine hengivne kan forstå dette til fulde og dermed opnå Min natur.

이로써 나는 행위의 장(육신)과 지식, 알 수 있는 것을 요약해 설명하였다. 오직 나의 헌애자들만이 이것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나의 본성에 이를 수 있느니라.

Purport

주석

FORKLARING: Herren har i korthed beskrevet kroppen, viden og det, der kan vides. Denne viden er om tre ting: Den, der ved, det, der kan vides, og måden, hvorpå man kan vide noget. Tilsammen kaldes de under ét vijñāna eller videnskaben om viden. Fuldkommen viden kan forstås direkte af Herrens uforfalskede hengivne. Andre kan ikke forstå. Monisterne hævder, at disse tre elementer i sidste ende bliver til ét, men de hengivne accepterer ikke dette. Viden og udvikling af viden indebærer at forstå sig selv i Kṛṣṇa-bevidsthed. Vi er styret af materiel bevidsthed, men så snart vi overfører hele vores bevidsthed til Kṛṣṇas aktiviteter og erkender, at Kṛṣṇa er alt, opnår vi virkelig viden. Viden er med andre ord intet andet end det indledende stadie til en fuldstændig forståelse af hengiven tjeneste. Det bliver tydeligt forklaret i kapitel 15.

주께서는 간략히 육신과 지식, 그리고 알 수 있는 것에 관해 설명하셨다. 이 지식은 세 가지, 즉 앎의 주체, 알 수 있는 것, 앎의 과정이다. 이 모든 것을 통틀어 비갸냐(vijñāna), 즉 지식의 과학이라고 한다. 완벽한 지식은 주의 순수한 헌애자들은 직접 이해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해할 수 없다. 일원론자들은 궁극적 단계에서 이 세 가지가 하나가 된다고 말하지만 헌애자들은 이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지식과 지식의 발전은 우리 자신을 끄리쉬나 의식 안에서 이해함을 의미한다. 우리는 현재 물질적 의식의 지배를 받고 있지만 모든 의식을 끄리쉬나를 위한 행위로 전환하고 끄리쉬나가 전부라는 사실을 깨닫는 즉시 진정한 지식을 얻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지식이란 봉헌을 완벽히 이해하기 위한 예비 단계에 불과하다. 제15장에서 이것은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Sammenfattende kan det forstås, at vers 6 og 7 fra mahā-bhūtāni til og med cetanā dhṛtiḥ analyserer de materielle elementer og visse manifestationer af livssymptomerne. Disse forbinder sig og danner kroppen eller handlingsfeltet. Og vers 8 til 12 fra amānitvam til og med tattva- jñānārtha-darśanam beskriver kundskabsmetoden, hvorigennem man kan forstå handlingsfeltets to kendere – sjælen og Oversjælen. Vers 13 til 18 fra anādi mat-param til hṛdi sarvasya viṣṭhitam beskriver dernæst sjælen og den Højeste Herre eller Oversjælen.

이제 요약하면, “마하 부따니”로 시작해서 “쩨따나 드리띠히”로 이어지는 제6절과 7절은 물질의 구성요소와 생명의 징후가 발현되는 현상의 분석이라는 점을 이해했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모여 육신, 즉 행위의 장을 구성한다. 그리고 “아마니뜨밤”에서 “땃뜨바-갸나르타-다르샤남”에 이르는 제8절에서 12절은 행위의 장을 아는 두 주체, 영혼과 초영혼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의 과정을 설명한다. 그다음 “아나디 맛-빠람”으로 시작해 “흐리디 사르바샤 비쉬티땀”으로 이어지는 제13절에서 18절까지는 영혼과 지고한 주 혹은 초영혼을 설명한다.

Tre ting er således blevet beskrevet: handlingsfeltet (kroppen), erkendelsesprocessen og sjælen såvel som Oversjælen. Her bliver det især understreget, at kun Herrens uforfalskede hengivne kan have en klar forståelse af disse tre ting. Disse hengivne kan derfor drage fuld nytte af Bhagavad-gītā. Det er dem, der kan nå det højeste mål, den Højeste Herre, Kṛṣṇas, natur. Med andre ord kan kun hengivne og ingen andre forstå Bhagavad-gītā og nå det eftertragtede resultat.

따라서 이 세 가지 항목, 행위의 장(육신), 이해의 과정, 그리고 영혼과 초영혼이 모두 설명되었다. 특히 여기에서 오직 주의 순수한 헌애자들만이 이 세 가지를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헌애자들에게 바가바드 기따는 전적으로 유용하다. 최상의 목표, 지고한 주 끄리쉬나의 본성에 이를 수 있는 것은 바로 그들이다. 다른 말로, 그 누구도 아닌 오직 헌애자들만이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